d라이브러리
"바이러스"(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6 오랜 전통과 국가적 지원으로 눈부신 성장과학동아 l1992년 10호
- 연수생을 받아 훈련시키고 있다. 9개과를 열거하면 세균 및 균학과, 생태학과, 면역학과, 바이러스학과, 생화학 및 분자유전학과, 분자생물학과, 실험생리 및 병리학과, 생물공학과, 병원 등이다.이 연구소는 생물학 분야의 기초연구, 의학 및 생물공학의 응용, 교육센터, 국가표준센터, ... ...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08호
- 1, 2g을 잘라내 즙액을 추출한 뒤 여기에 분말을 뿌리고 12시간 정도 기다리는 일 뿐이다. 바이러스가 있으면 즙액 주위에 흰띠가 형성되고, 없으면 흰띠는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 ... ...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등으로 구성돼 있다.여기에 AIDS감염이 의심되는 피 한방울을 떨어뜨리면 10분 후에 HIV-1바이러스 항체의 유무가 판별된다. 즉 AIDS 양성이면 푸른 색으로 변하고, 음성이면 흰색으로 남아있게 된다. 무렉스가 내놓은 이 AIDS 진단시약은 검사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종전에는 수시간이 걸렸다) 특별한 ... ...
- 「지구의 산소탱크」열대우림이 사라진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자원으로서 반드시 보전되어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현대의 농학은 새로운 해충과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농산물들을 지키기 위해 새로운 유전적인 자원을 필요로 한다. 열대우림 생태계는 새로운 식품과 의약품의 유전자 물질들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약품의 25%가 식물에서 온 ... ...
- 손톱과학동아 l1992년 06호
- 된 경우(예컨대 깁스를 했을 때)에는 손톱의 성장이 느려진다. 이하선염이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예 감기)에 걸려도 손톱의 자람이 일시적으로 느려지거나 중단될 수 있다.사람이 죽은 후에도 머리카락과 손톱은 계속 자란다는 속설이 있다. 물론 합당하지 않은 얘기다. 그렇지만 이 속설은 ...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이러한 행동은 마치 우물에 독극물을 넣는 행위와 전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바이러스개발자와 백신개발자의 쫓고쫓기는 지루한 싸움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한번은 넘어야 할 산「유료화」지난 89년 케텔이 '큰마을'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 ...
- 몸무게과학동아 l1992년 04호
-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뚱보들보다는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감기 몸살 결핵 등에 걸릴 위험성은 더 크다. 특히 거식증에 걸린 여성은 형편없이 말라서 비아프라나 이디오피아의 구호대상자들처럼 뼈만 앙상하게 ... ...
-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과학동아 l1992년 04호
- 9년에 처음 발견된 것으로 변종이 5종이나 된다. 미켈란젤로바이러스도 지난해 7월 '3월6일바이러스'란 이름으로 한 컴퓨터잡지에 실려 프로그래머들 사이에서는 생소 하지 않다.컴퓨터전문가들은 미켈란젤로 예루살렘바이러스 등 특정 날짜에만 발현하는 바이러스보다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어느 ... ...
- 실내공기 약품오염 심각과학동아 l1992년 02호
- 병원내 금연조치가 보다 강력하게 시행돼야 한다.여덟째로 각종 미생물들도 문제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은 병원에서 가장 다양하게 전파돼 병원감염의 주 원인이 된다. 실제로 병원에서 에어컨을 가동시키거나 살충제를 뿌린 후 레지오넬라병(Legionnaire's disease)이나 폰티악열병(Pontiac fever) 등이 ...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과학동아 l1992년 02호
- AIDS 항체양성반응을 보인 사람이 각 매스컴에 보도되기도 했다. 수혈을 통해 잘 전파되는 바이러스로는 홍역 인플루엔자 천연두 등이 있고, 세균으로는 브루셀라와 매독 등이 있다. 또 말라리아와 트리파노소마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도 수혈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나 국내의 병원에서 수혈을 통한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