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한다.대기중에 떠도는 입자들은 모래입자 금속분진 각종 연기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와 같은 매우 작은 미생물 등 무수히 많은 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이들 입자의 크기는 사람이 볼 수 있는 최소 크기인 10μ(1μ=${10}^{-6}$m)보다 큰 1백μ부터 0.001μ까지 광범위하다. 공기오염이 심한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주면 AIDS
바이러스
가 이 혈중(血中) CD4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정상세포에는 AIDS
바이러스
가 침투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림프구에 이입된 CD4유전자가 치료에 필요한만큼의 단백질을 생성하지는 못하고 있다.유전자요법으로 암을 치료하려면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죽일 수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1백~1백50배나 증가시키는 획기적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더구나 이 인공씨감자는
바이러스
가 감염되지 않은 무균씨감자로 소규모공장에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해 앞으로 감자농업의 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2년째 시험농장재배를 성공적으로 마쳤는데 인공씨감자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천연씨감자를 콩알만한 크기로 줄여 놓았다. 따라서 보관 수송하기 쉽고 병충해와
바이러스
감염이 사라지게 된다. 아무튼 이 인공씨감자 기술은 상당액의 로열티를 보장받고 있는데, 그중 50%는 과학재단에, 30%는 발명자에게 돌아간다.피를 멎게 하는 지혈제인 α-트롬빈 개발도 이미 완료됐다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유전자를 추출해 제조한 키메라유전자로 발광하는 담배를 개발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바이러스
저항성 작물과 해충저항성 작물이 개발돼 있다.요컨대 DNA재조합기술 유전자도입기술과 같은 유전공학기술은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은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다. 약간 변화된 특성이 역시 유전정보처럼 보존되기도 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바이러스
보다 한단계 낮은 생물체의 존재로 부각되고 있다. 또 원시지구상에 나타난 생물의 유전정보가 단백질이었을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을 뒷받침하기도 한다.프라이온의 존재에 대한 분자생물학적인 관심도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않을 수 없다. 남자가 아이를 낳는다유전공학기법 중에는 세포융합촉진제(PEG, 센다이
바이러스
등)나 전기장을 이용, 자발적으로는 융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체세포나 성질이 다른 두 생식세포를 인공적으로 융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를테면 건조지작물과 다수확작물의 세포융합으로 가뭄에도 ... ...
바이러스
퇴치용 롬카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DOS를 부팅(booting)하지 않고도 하드웨어적으로 시스템프로그램이 작동되므로
바이러스
프로그램에 의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되므로 시스템 부팅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사용할 수 있는 기종은 XT AT 386 486등 모든 IBM 호환기종이며 설치방법은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생리학상 수상)의 소크연구소에 들어가 암
바이러스
연구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둘베코는
바이러스
학자지만 캘리포니아 공대에 있을 때 분자생물학의 창시자인 델브뤼크(1969년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의 영향을 받아 분자생물학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둘베코는 도네가와에게 앞으로 ... ...
낭성섬유증에 유전자 치료 효과보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는 세포에 정상 유전자를 복제해 결함을 바로잡는 것이다. 복제에는 인체에 해가 없는
바이러스
가 이용된다.그러나 이 치료법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다. 첫째는 어떻게 세포의 결함이 유전자복제를 통해 바로 잡히는지 그 메커니즘을 규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입된 유전자들이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