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이러스"(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에 녹여 쓰는 인공적혈구 개발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원반형 주머니같은 얇은 껍질 속에 헤모글로빈이 가득찬 구조를 하고 있다. 이 껍질에는 바이러스 등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고 혈액형도 껍질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다. 이를 벗겨버리면 감염의 걱정도 없고 혈액형을 맞출 필요도 없게 된다.적혈구의 껍질을 벗겨내고 그 내용물인 헤모글로빈만을 ...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과학동아 l1993년 11호
- 프로그램에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디스크 캐시 프로그램으로서의 smartdrv.sys, 램 상주형 바이러스백신인 V3RES.exe, 프로그래머들에게 인기 높았던 사이드킥 같은 것들이 있다.멀티태스킹이 요구하는 메모리 사용방식비록 태스크스위칭 방식이 램상주 프로그램보다 한단계 발전한 것이긴 하지만 ...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진화를 주도한다는 것이다.이 원리를 좀더 상세히 알아보자. 원핵세포나 대부분의 바이러스에서는 유전자의 DNA 길이는 아미노산의 수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즉 유전자의 서열 전부가 아미노산을 코드하는 서열이 되는 것이다.그러나 1977년에 이르러 이러한 견해는 바뀌게 된다. ... ...
- 유전공학 6대 논란과학동아 l1993년 11호
- 가족성 암의 경우를 뜻했다. 그 뒤 1976년 헤롤드 바무스와 마이클 비숍이 닭의 레트로바이러스(RNA를 유전정보로 가진 바이러스)에서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발견, 원암유전자(proto onco gene)라 이름 붙였다. 1982년에 처음으로 사람의 암에서 암유전자가 발견된 이래 지금까지 파악된 암유전자는 70-8 ... ...
- 정신분열증은 지각장애, 우울증은 감정기능 불균형서 비롯과학동아 l1993년 10호
- dementia-그 중 알츠하이머형이 가장 흔하다), 중추신경계 감염(신경매독, 결핵성 뇌막염, 바이러스염 등), 뇌손상(만성 지주막하 혈종 등), 독성 대사장애(악성빈혈, 엽산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혈관성장애(다발성 경색성 치매, 정상뇌압 수두증), 신경계 질환(헌팅톤 무도병, 다발성 경화증, ... ...
- 플라시보효과, 환자 3명중 2명꼴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중요한 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가령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경우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한다."플라시보 효과로 회복되는 환자의 비율은 0에서 1백까지 매우 다양하여 상이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플라시보 효과를 배가시킨다. 그중 치료하는 의사를 가장 좋아하고 ...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수상함으로써 세계의 분자생물학분야에서 업적을 인정받게 됐다. 현재는 최초로 AIDS 바이러스를 규명한 파스퇴르 연구소의 몽테니에(Montaignier)박사, 임신방지제(RU486)를 발명한 INSERM의 볼리외(Baulieu)박사, 인간염색체 21q의 염기배열을 규명한 CEPH의 코엥(COhen)박사 등이 세계의 정상을 유지하고 있다 ...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때문에 인공생명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생물학적 바이러스가 질병을 일으키지만 의약품 개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생물처럼 진화하는 소프트웨어로는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과 띠에라(Tierra)가 유명하다. 미시간 대학의 존 ...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면역체계는 마치 수면의 박탈로 인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유기체가 침범한 것처럼 지나치게 반응하고 있었다.에이즈 환자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건강한 사람의 경우 수면시간 동안 일정한 리듬을 따라 일어나는 면역체계의 화학변화가 에이즈 환자의 ... ...
-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위한 암세포 연구, 인터페론, 생체방어 기능을 맡고 있는 면역세포들의 기능과 AIDS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공격에 대한 방어수단 개발 등이 분자세포생물학의 연구 영역이다.세포생물연구의 대상이 분자에서 세포 기구 수준으로 넓어지면서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가 더해가고 있다.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