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노리는 연구들이 진행중이다.이러한 일련의 암백신에 대한 연구는 면역학 분자생물학 및
바이러스
학의 발전에 힘입어 장차 혁신적인 암 치료 방법으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암이나 자궁경부암과 같은 일부 암을 제외하면 당초의 예측보다는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암발생 사례가 적었다. 그 보다는 오히려 환경에 존재하는 발암물질들 때문에 세포의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고 이것이 더 많은 암의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또한 1980년대 후반에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이것을 레트로
바이러스
(retrovirus)나 아데노
바이러스
(adenovirus)에 삽입합니다. 이를테면 이
바이러스
들을 p53의 운반체로 활용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운반체에 실린 p53을 암환자의 몸에 투여하는 것이 유전자 치료법입니다."라고 설명한 김창민박사는 "현재 미국에서 MD 앤더슨 암센터의 잭 로스박사가 ... ...
암연구의 메카 미국 국립암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후천성면역결핍증, 즉 AIDS에 대한 연구는 NCI의 또 하나의 큰 연구분야이다. 최초의 HIV
바이러스
발견자가 누구인가를 놓고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의 몽타니에 박사와 일전을 벌였던 로버트 갈로박사도 NCI 소속이다.미국은 암퇴치를 위한 연구에 정부가 일찍부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이 ... ...
아프리카, 살인
바이러스
에볼라 공포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꾀하는데, 이 또한 살아남기 위한 고도의 진화결과라 할 수 있다.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바이러스
들이 자꾸 얼굴을 내미는 이유에 대해, 학자들은 사회적 행태 변화에 따른 영향쪽에 혐의를 두는 편이다. 에이즈의 경우만 하더라도 아프리카 오지에서 수백년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으나 현대에 들어 ... ...
3 사용자·제작자 만족 최선책은 셰어웨어 활성화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McAfee Associates, Inc.)를 들 수 있다. 이 회사는 89년 처음 설립된 이래 불과 수년만에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인 스캔 시리즈 하나로 연간 총매출이 2백억원(1천7백91만1천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회사로 성장했다. 물론 이 회사의 매출액 안에는 기업체 사이트라이센스 매출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긴 ... ...
공기로 마시는 감기 백신 등장할 듯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막아준다. 그러나 이 항체는 혈액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코나 기도를 통해 들어오는
바이러스
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방어실력을 보여주지 못한다.여기에 착안한 네덜란드 그로니겐대학 잔 월스첫교수팀은 감기 바아러스의 제1 침투로인 코와 기도의 점막에 방어전선을 구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 ...
사이베리아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못지않게 주인공을 조작하면서 주의해야 할 것은 에이즈
바이러스
변형체를 비롯한 각종
바이러스
와 작은 날짐승들 이들을 한정된 양 만큼 처치하지 않고서는 끝나는 부분은 영영볼 수 없다.이 타이틀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386급 이상(486 DX-66 권장) 4MB 이상의 메모리에 사운드 블래스터 호환카드가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몽타니에 박사와 다른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HIV
바이러스
가 매우 적극적인
바이러스
라고 믿는다. HIV
바이러스
는 항상 세포 밖으로 뛰쳐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면역시스템의 '브레이크'에 걸려 그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감염자의 면역성이 떨어지면 즉시 외부로 탈출해 면역세포의 ... ...
알레르기, 현대인의 불치병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이를 면역이라 한다. 우리 신체는 면역 덕분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수많은 외부환경(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킬 수 있다.그러나 때때로 잘못된 면역반응의 한 형태인 과민반응으로 우리 몸에 해를 주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알레르기'라고 한다.우리 몸을 지키는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