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있다.*μm(마이크로미터) : 길이 단위. 1μm는 1mm보다 1000배 짧다. ※필자소개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실험에 참여한다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과학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래 과학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보이지요. 올해 수상한 연구 중에 맘에 드는 분야가 있다면 여러분도 ‘PICK’ 해 ... ...
- 노벨물리학상│20년간 우주 뒤져 블랙홀을 찾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초기에 형성돼 점점 커지다 중력을 받아 중심으로 온 것으로 추정되지요. 서울대학교 우종학 교수는 “다양한 크기의 블랙홀을 찾아 블랙홀과 은하 진화의 비밀을 밝히는 데 중력파 검출기와 레이저 적응 광학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 적외선 :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 ...
- 하루에 넌 몇 번 생각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발견하곤 그 비밀을 알아냈어! 생각벌레, 내 정체가 궁금해?지난 7월, 캐나다 퀸즈대학교 조던 포팽크 박사팀은 인간이 하루 평균 6200번의 생각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한 생각이 끝나고 다른 새로운 생각이 시작되는 시점을 센 결과지요.연구팀은 184명의 실험자들에게 준비된 같은 영화를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포부를 밝혔답니다. ●인터뷰“생각을 컴퓨터에 업로드 하는 그날까지!”임창환(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Q지난 8월 공개된 거투르드 모습을 교수님께서도 생중계로 시청하셨다고요?저 같은 BMI* 연구자들은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채널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너무나 ... ...
- [질문하면 답해ZOOM]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 (김미솔 brad999)결론부터 말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채집한 국가가 돼요. 오시리스-렉스 미션 연구 책임자인 단테 로레타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교수는 “베누가 태양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소행성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번에 채집한 물질을 연구하면 태양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가상인터뷰]오가노이드 성장 비결은 쥐어짜내며 ‘압축’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30%였지만, 압축했던 오가노이드의 세포 수가 늘어난 비율은 50~80%였단다.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밍 구오 박사는 “실제로 베타카테닌의 밀도가 높아져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신호 전달이 빨라졌다”며 “이처럼 세포를 압축하는 방식이 윈트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뿐 아니라 다른 ... ...
- [시사과학]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스탠’, 무려 368억 원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표본은 과학자들에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수도 없어요.서울대학교 고생물학 연구실의 이성진 연구원은 “이번 경매가 장기적으로 일으킬 파장이 더 걱정된다”며, “스탠이 엄청난 가격에 팔리면서 앞으로 보존이 잘 된 화석의 가격이 상승하고, 상업적 화석 발굴과 거래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왕자님을 집으로 돌려보내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있는 방사성 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개발에 힘을 쓰고 있어요.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라파엘 메젠가 교수팀은 지난 10월, 우유에서 얻은 ‘유청 단백질’과 활성탄을 이용해 만든 필터가 방사성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연구팀은 유청 단백질을 사용해 단백질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