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있다.*μm(마이크로미터) : 길이 단위. 1μm는 1mm보다 1000배 짧다. ※필자소개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실험에 참여한다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9월 2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를 소리화한 연주곡을 공개했어요.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천체물리학자 매트 루소 교수팀이 찬드라 X선 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찍은 우주를 소리로 바꾼 거예요.찬드라 X선 망원경이 찍은 사진은 악기 글로켄슈필, 허블 우주망원경 사진은 ... ...
- [가상인터뷰] 자동차 바퀴에 깔려도 살아남는 철갑 딱정벌레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1170t(톤)의 무게를 견디는 셈이지.10월 21일, 미국 어바인캘리포니아대학교와 퍼듀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철갑 딱정벌레가 어마어마한 무게를 견디는 비결을 밝혔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고해상도 현미경으로 철갑 딱정벌레의 날개의 덮개인 딱지날개의 단면을 관찰하고,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찍은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고대인들이 지상화를 그린 이유에 대한 단서를 찾고 있어요. 2018년에는 일본 야마가타대학교 연구팀이, 2019년에는 이슬라 연구원팀이 각각 인공지능과 드론을 이용해 새로운 지상화 백여 점을 더 발견했지요. 연구원들은 이곳에서 지상화 천여 점을 더 찾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천문대 소식] 지금은 천체물리학 전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상이 이뤄져요.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로저 펜로즈 교수와 블랙홀을 찾아낸 미국 로스앤젤레스 물리천문학부 안드레아 게즈 교수,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연구소 라인하르트 겐첼 교수가 받았어요.올해를 비롯해 지난 4년 동안 천체물리학 ... ...
- 베토벤 탄생 250주년 내 뒤를 이을 작곡가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빠바바-밤~! 삐-비비-빅-빅! YO! YEAH!”나는야 독일의 음악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 올해는 내가 태어난 지 250년이 되는 해야. 그런데 웬 디제잉이냐고? 자축 공연이랄까? 한국의 과학자가 나를 최고의 작곡가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거든! 내게 도전장을 내미는 작곡가들도 있고 말이지. 그게 누구냐 ... ...
- [과학뉴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날 달에 기존의 추정치보다 물이 더 많을 거라는 분석도 나왔어요.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학교 천체물리학과 폴 하이네 교수 연구팀이 연구한 결과지요. 하이네 교수 연구팀은 달 표면의 영구음영지대에 주목했어요. 영구음영지대는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 부분으로, 온도가 영하 180℃ 이하로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0월 21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마르코 후터 교수팀은 ‘애니말’이라 불리는 네 발 달린 로봇개가 눈밭과 자갈길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돕는 AI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기존 로봇은 카메라로 얻은 정보만으로도 편평한 땅을 걷는 데 큰 문제가 없었어요. 반면 눈밭이나 진흙탕, 빽빽한 ... ...
- 독감 백신 주사, 맞아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사망 원인은 사망자들이 기존에 앓고 있던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이었지요. 한림대학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독감 백신 주사는 생후 6개월인 영아도 맞을 수 있을 만큼 안전이 검증된 편”이라며,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조사 결과를 믿어도 된다”고 전했어요.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셀시우스는 1701년 11월 27일 스웨덴 웁살라에서 태어났어요. 그는 1730년부터 웁살라대학교의 교수로 지내면서 1741년, 천문대를 건설하였고, 북극의 오로라를 관측하는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지요. 하지만 그의 이름을 역사에 길이 남긴 건 온도 체계를 만든 일이었어요.17~18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온도를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