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장의 과학] 수고했어, 안녕! 아레시보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세계에서 가장 큰 전파망원경으로, 57년 동안 많은 업적을 남겼어요. 1974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의 러셀 헐스 교수와 조셉 테일러 교수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두개의 궤도를 도는 중성자 별인 쌍둥이 펄서를 세계 최초로 발견해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어요. 또 천문학자들이 외계 문명의 ... ...
- [특집] 후비적~, 귀지가 내 스트레스를 알려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검사는 결과가 나오는 데 하루 이상 걸리는 문제가 있고요.11월 2일, 영국 킹스칼리지런던대학교 신경과학 연구팀은 귀지를 채취해 코르티솔 수치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피험자 37명의 양쪽 귀지와 머리카락, 혈청을 한 달동안 총 두 번 추출해 각 샘플의 코르티솔 농도를 측정했어요 ... ...
- [특집] 박쥐의 사냥법이 궁금해? 답은 똥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시간으로 물체의 위치를 찾는 능력을 말해요. 연구에 참여한 메이 틱슨 미국 텍사스대학교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전까지 박쥐가 멈춰 있는 먹잇감을 사냥할 수 있는지는 아무도 몰랐다”며, “잎과 나뭇가지도 초음파를 반사하기 때문에 정글에서 정지한 먹이를 반향정위로 찾는 것은 ... ...
- [만화뉴스] 차디찬 영하 70℃에서 얼지 않은 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1월 20일, 포스텍과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영하 7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대기압의 3000배 정도의 압력을 가해 영하 160℃ 상태의 고밀도 얼음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레이저를 쏘아 순간적으로 얼음을 가열했어요. 그러자 찰나의 순간 그 부분이 영하 7 ...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따라 체온이 바뀌는 ‘변온동물’의 미래는 어떨까요? 9월 16일, 스페인 오비에도대학교 생물다양성연구소 게르만 오리자올라가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은 기후변화가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 변온동물의 노화를 앞당기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어요. 기온이 높을 때, 변온동물의 성장이 ... ...
- [특집] 세상에 나쁜 턱수염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증명하는 첫 번째 연구가 나왔어요! 지금 바로 소개합니다! 올해 4월 15일 미국 유타대학교 생물학과 데이비드 캐리어 교수 연구팀은 남자의 턱수염이 풍성할수록 충격을 잘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싸울 때 턱이 가장 흔하게 골절되는 부위이고, 다치면 후유증도 심하다는 ... ...
- [기획] ‘정상 체온’이 변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사는 부족의 체온도 떨어졌다!도시에서만 체온이 떨어진 걸까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마이클 거번 교수팀은 산업화 되지 않은 볼리비아의 치마네 부족에서도 체온 감소 현상을 발견했다고 지난 10월 밝혔어요. 2002년부터 17년간 아마존 열대우림에 사는 치마네 부족 5481명의 체온 기록 1만 7955개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균형 잡기의 달인이 되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데에도 사용될 수 있어요. 지난 7월, 프랑스의 국립과학연구센터와 엑스마르세이유대학교 연구팀은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 있던 파리가 어떻게 똑바로 비행을 할 수 있는지 분석했답니다. 연구팀은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해 파리가 비행하는 모습을 촬영했어요(위 사진). 파리는 천장에서 떨어지면서 ...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작은 3D 프린터 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레이든대학교 물리학과 다니엘라 크래프트 교수팀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보트를 3D프린터로 제작했어요. 머리카락 두께의 3분의 1 크기의 이 보트는 미생물의 움직임을 연구하던 과정에서 만들어졌어요. 지금까지 미생물의 움직임은 동그란 입자 형태로만 연구됐지만, 이번에는 3D 프린터로 원하는 ... ...
- [가상인터뷰] 밥을 먹은 개미가 배에 머리를 가져다 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발견할 수 있지. 너희가 밥을 먹을 때마다 하는 행동이 있다는데?최근 독일 마틴루터대학교 생물학과 지문 트라구스트 교수는 플로리다 목수 개미가 음식이나 물을 삼킨 뒤에 항상 고개를 숙여 자신의 배에 머리를 대는 걸 발견했어. 그 이유가 배에 있는 샘에서 분비되는 산성 물질인 ‘포름산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