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말하면 미국의 공학자 벅민스터 풀러가 고안한 지오데식 돔이다. 삼각형 프레임이 구의
표면
을 덮고 있는 모양을 한 지오데식 돔은 적은 재료로 튼튼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지구에서 건축 재료를 많이 가져올 수 없는 상황이라 이런 구조가 최선이었다. 앞으로 화성에서 금속을 제련할 수 있다면 더 ... ...
유방암 백신 개발 ‘한발짝 더’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항체를 만들고 림프구 반응을 촉진시킨다. 백신은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암세포
표면
에 있는 MUC1 단백질을 공격해 항암효과를 낸다.연구팀은 이 백신을 유방암 모델 쥐에서 실험한 결과, 종양이 평균 80%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산드라 젠들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포들의 당 구조가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keyword 1 드론 이란에 뺏긴 미국 무인정찰기지난해 12월 8일 이란이 미국의 최신형 무인정찰기를 공개했다. 무인정찰기 이름은 ‘드론’. 이란은 드론 ... 케플러-22b에 반드시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목성이나 해왕성처럼 행성
표면
이 기체로 이뤄져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프린터 헤드는 설계도에 따라 빛(자외선)으로 원하는 모양을 그린다. 빛을 받으면 액체
표면
이 굳어 레이어가 된다.첫 번째 레이어는 액체 속에 살짝 잠기고 그 위로 다시 프린터 헤드가 지나가면서 두 번째 레이어를 만든다. 액체에 잠기는 과정에서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이어마다 지지대를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원자핵의 밀도인 3×1017kg/m3와 비슷하다. 즉 중성자별은 거대한 원자핵인 셈이다.중성자별
표면
의 중력은 지구에 비해 무려 2000억 배나 높다. 이렇게 강력한 중력은 조금이라도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곳을 가만 놔두지 못한다. 중성자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고 해봐야 높이가 고작 5mm도 안 된다. ... ...
겨울 간식 삼총사 찐빵, 호떡, 붕어빵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딱딱하게 익지 않고 빵 같은 식감이 나요. 또 높은 온도로 굽기 때문에 갓 구웠을 때는
표면
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과자처럼 바삭하답니다. 반면, 식은 붕어빵이 눅눅한 이유는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흡수되기 때문이에요.꺄~! 드디어 맞혔다! 집에서 요리를 도맡아 한 보람이 있는걸? 쟈니 아저씨!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트기도 하지. 볼이 빨갛게 변하는 이유는 온도가 갑자기 변하거나 감정적인 이유로 피부
표면
에 있는 모세혈관이 넓어지기 때문이래. 얼굴이나 입술이 트는 것은 공기가 너무 건조하기 때문이라는군. 콜록콜록, 독감과는 다른 감기!보통 독감을 독한 감기라고 생각하지만 독감과 감기는 다르대.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많지요? 하지만 귀지는 파는 것보다 그냥 두는 것이 좋아요. 귀지가 쌓이는 귀의 외이도
표면
은 우리 몸에서 가장 피부 조직이 얇은 곳이에요. 이 곳을 잘못 파다가는 상처가 날 수 있답니다. 또 면봉으로 귀지를 파다가 잘못하면 면봉에 붙은 솜이 귓속에 끼어버리기도 해요. 우리 몸의 때나 귀지는 ... ...
제5대 국새의 다섯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4개월 동안 하기도 했어요. 또 반짝이는 국새를 만들기 위해 간단하게 산을 이용해
표면
을 녹일 수도 있지만 일일이 손으로 광을 내는 작업을 했답니다.국새는 그냥 도장이 아니라 나라를 상징해요. 그렇기 때문에 첨단과학만을 이용해 쉽게 만들기 보다는 예술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국새를 만들기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이번엔 우리 팀에서 특별한 공까지 준비했지. 바로 습기를 머금은 야구공이야. 야구공
표면
은 가죽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습기를 머금으면 손에 더 잘 잡혀서 변화구를 던지기에 유리하거든. 게다가 타자들이 공을 쳤을 때 습기를 머금지 않은 공에 비해 덜 날아가는 특징이 있지. 하하~. 오늘의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