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와 배에 감시의 ‘눈’을 달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EM은 어선 곳곳에 카메라를 달아 잡아 올린 어류를 촬영하는 시스템이에요. 만약 잡아 올린 어류에 멸종위기종과 포획금지종이 있다면 어선이 이들을 돌려보내는 등 적절한 조치를 했는지를 정부가 확인할 수 있지요.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도 원양어선에 EM을 달았지만, 전문 감시관이 일일이 영상을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북부예요.미얀마 호박 화석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어요. 우선, 미얀마 호박은 약 9900만~1억 년 전 백악기 초기에 만들어졌어요. 당시 미얀마 지방은 해변을 접한 따뜻한 기후로,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를 이루고 있었어요. 미얀마 호박은 중생대 생태계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흔치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혈소판, 지시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나 과학마녀 일리! 오랫동안 이어진 장마가 끝나고, 오랜만에 야외활동으로 하러 밖에 나왔어! 앗! 그런데 신난 나머지 뛰어놀다 넘어졌어. 무릎에서 피가 철철 흐 ... 상태에 따라 변하는 산화·환원 지시약, 침전이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사용하는 흡착 지시약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답니다 ... ...
- 열려라, 우주 개척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이륙 가능성을 테스트할 목적으로, 비행은 성공적이었지만 시험 과정에서 엔진에 약간의 문제가 발견됐어요. 일론 머스크는 “발사 절차를 개선해서 몇 번 더 시험 비행을 거치고 싶다”고 얘기했지요. 아직 다음 시험 비행 일자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답니다. 이번 성공을 두고 일론 머스크는 ... ...
- [과학뉴스]먹어봤자 소용없다! 콩알물땡땡이의 탈출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배설물에서 죽은 채 발견됐답니다. 스기우라 박사는 “콩알물땡땡이는 발로 개구리의 괄약근을 열었을 것”이라며 “이 연구는 먹이 곤충이 포식자에게서 능동적으로 탈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설명했답니다 ... ...
- [가상인터뷰] 세레스, 바다를 품고 있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바다가 있다고? 응. 연구팀은 오카토르 크레이터 아래에 깊이 약 40km, 폭은 수백km에 달하는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어. 연구팀이 돈 탐사선으로 세레스의 중력장을 측정해 중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야. 또, 연구팀은 물질이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빛을 관찰해 오카토르 ... ...
- 예술이 된 우주 │ 과학동아 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제14회 별빛미션왕 제14회 별빛미션은 ‘만약 달에 외계인이 살고 있다면?’입니다. 만약 공기도 없고, 중력도 지구의 1/6인 달에 외계인들이 살고 있다면? 그들은 어떤 모습일까요? 별빛 미션왕이 된 박수범 학생에게 들어보겠습니다. “달에 사는 외계인은 지적 수준이 매우 높을 것 같아요. 대기가 ...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라이브 show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직박구리 데이, 거미 데이 등 총 10건의 온라인 탐사데이를 거치며,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약 4개월간 총 1만 2866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어요. 대원들이 올려준 탐사기록은 각 생물종 연구자들이 내려받아 연구 논문 자료로 쓰일 예정이에요. 하반기에도 많은 탐사 응원할게요 ... ...
- [과학뉴스] 망간에서 에너지 얻는 미생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것이라고 추정했지요. 연구진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망간 산화물이 있는 유리병에서 약 70종의 세균을 찾아냈고, 이 중 연관성이 있는 두 종을 추려냈어요. 이후 이 두 세균이 있는 병에 탄산망간을 같이 두고 관찰해 보니, 세균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어요. 또 세균의 수가 늘어날수록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빠르게 번식한다고 알려졌지만, 대벌레를 실험 관찰한 결과, 대벌레 한 마리는 일생 동안 약 100~150개의 알을 낳는다”고 말했어요. 이어, “방제하는 이유가 사람이 혐오감을 느끼기 때문이라면, 대벌레를 죽이기 보다는 사람이 지나는 곳에 기피제를 뿌려 대벌레가 오지 않도록 방역하길 바란다”고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