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악어가 헬륨 가스를 마시면? 엉뚱한 노벨상, 이그노벨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발표를 약 3주 앞둔 9월 17일,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발간하는 유머과학잡지 에서 괴짜 노벨상이라 불리는 ‘이그노벨상’ 올해 수상자가 발표됐어요. 이그노벨상은 특이한 연구를 한 사람들에게 주는 일종의 엉뚱 노벨상이에요. 올해 이그노벨상은 음향학상, ... ...
- [특집] 야생의 전기를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전자의 흐름이 생겨 전기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거예요. 연구팀이 제작한 발전기는 1m2당 약 25mW(밀리와트)의 전력을 만들었어요. 이 전기 에너지로 LED 전구를 켜기도 했답니다. 펄펄 눈이 옵니다♬ 눈으로 전기 에너지를!에너지 하베스팅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눈은 반가운 존재가 아니에요. ... ...
- [한 장의 과학] 원자외선 오로라가 반짝반짝! 혜성에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볼 수 없어요. 이는 67P 혜성 오로라가 원자외선 오로라이기 때문이랍니다. 원자외선은 약 200㎚의 영역으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아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원자외선 영역의 빛을 관측할 수 있는 우주망원경인 원자외선 분광기를 활용했답니다.갈란드 박사는 “행성과 ... ...
- [과학뉴스] 비상! 약 50년간 야생 척추동물 수 2/3 줄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1970년에서 2016년까지 46년간 전 세계 야생 척추동물 개체 수가 평균 6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 개체 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대륙은 중남미 대륙으로, 평균 94%나 줄어들었지요. 9월 9일 세계자연기금은 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어요.동물들이 사라진 주된 이유는 개발, 밀 ... ...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마치 두더지 게임의 두더지처럼요. 이런 탓에 우리에게 익숙한 전자기력 등에 비해서 약한 핵력을 통한 물질 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요. 수많은 중성미자가 어떤 물질과 만나도 극히 일부만 물질과 반응하지요. 이런 탓에 여러 반응을 일으키며 질량 등의 특징을 알아내는 실험을 ... ...
- [진흙] 지구를 빚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필에는 수천 년 동안 지구가 견뎌온 환경의 기록이 있지요. 갯벌 진흙은 1000년에 약 50~100cm가 쌓이거든요.필을 연구하면 수천 년 전의 수심, 생물의 행동, 해수의 온도는 물론 태풍같은 자연재해 여부 등을 알 수 있어요. 갯벌 퇴적층에 갑자기 빠른 흐름으로 만들어진 모래층이나 자갈층이 나타나면 ... ...
- [한 장의 과학] 깜짝?! 수면 아래에 배가 둥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2cm인 수조에서 액체를 공기중에 띄웠어요. 그리고 공기 중에 뜬 물의 윗면과 아랫면에 약 3cm 크기의 종이배를 올렸지요. 액체의 윗면에는 당연히 배가 떴어요. 그런데, 수면 아래에도 배가 떴지요. 연구팀은 아래쪽 배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도 부력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부력은 액체나 기체와 ... ...
- [통합과학 교과서] 선녀가 원하던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나면, 달의 밝은 면은 다시 줄어들어 하현달, 그믐달 순서로 작아진답니다.달의 모양은 약 한 달(29.5일)을 주기로 규칙적으로 변해요. 이처럼 삭이었던 달이 다음 삭이 될 때까지, 또는 망이었던 달이 다음 망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삭망월’이라고 해요. 그리고 이런 달의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 ...
- [진흙] 생물이 바글바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산소와 유기물질을 주입했더니 68일 만에 움직임이 나타났고 증식하기 시작했지요. 약 1억 년 전 중생대 백악기 시대에 공룡과 함께 살던 미생물이 여태 살아남아 활동을 시작한 거예요. 이들은 어떻게 1억 년 이상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요? 연구팀은 그 이유로 ‘산소’를 꼽았어요. 연구팀이 시추한 ... ...
- [기획] 인류를 구한 불멸의 세포, 헬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미국 볼티모어에 살던 로렌스 랙스는 기자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고 충격에 빠졌어요. 약 20년 전 자궁경부암으로 세상을 떠난 엄마 헨리에타 랙스가 살아있다는 전화였어요. 정확하게는, 엄마의 암세포가 살아남아 생물학 연구에 사용된다는 내용이었죠. 도대체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