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의사들이 병원을 떠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커지면서, 지난 2월부터 우리나라는 전화로 의사와 상담하거나 약을 처방받을 수 있도록 ‘비대면 진료’를 임시적으로 허용한 상황이에요. 정부는 여기서 더 나아가 지난 7월엔 한국판 뉴딜 계획 중 하나로 디지털 기반 병원을 늘리고, 인공지능으로 병을 진단하는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1826년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 제임스 던럽이 처음 발견한 NGC 1805는 지구에서부터 약 16만 3000광년 떨어진 대마젤란은하의 귀퉁이에 있어요. NGC 1805는 다른 구상성단과 다른 독특한 특징이 있어요. 일반적으로 구상성단의 별들은 동시에 태어나는데, NGC 1805는 나이가 수백 만년 이상 차이가 나는 두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남은 음식 찌꺼기가 몸 밖으로 배출되며 황토색 혹은 갈색의 똥이 되는 거예요. 만약 쓸개즙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았다면 똥은 흰색을 띤답니다. 용어정리*태양의 고도 : 지평선을 기준으로 태양의 높이를 각도로 나타낸 것.*1μm : 1마이크로미터. 1mm의 1/1000에 해당하는 길이다 ... ...
- 새와 배에 감시의 ‘눈’을 달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EM은 어선 곳곳에 카메라를 달아 잡아 올린 어류를 촬영하는 시스템이에요. 만약 잡아 올린 어류에 멸종위기종과 포획금지종이 있다면 어선이 이들을 돌려보내는 등 적절한 조치를 했는지를 정부가 확인할 수 있지요.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도 원양어선에 EM을 달았지만, 전문 감시관이 일일이 영상을 ... ...
- [보존과학] 그림에 난 상처, 되돌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아픈 곳이 생기면 병원에 가서 약을 처방받기 전, 의사 선생님께 먼저 진찰을 받지? 미술품은 어떻게 진단을 받고 치료에 들어갈까? 예술품, 손대지 말고 보존과학자에게 양보하세요훼손된 미술품은 가장 먼저 ‘분석실’로 향해 검사를 받아요. 이때 작품의 손상 부위뿐 아니라 해당 작품이 어떻게 ... ...
- [가상인터뷰] 갯가재 핵 펀치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나는 바다에 사는 갑각류인 갯가재야. 전 세계적으로 약 450종이 있지. 우리 갯가재들은 앞발의 모양에 따라 ‘할퀴기형’과 ‘주먹형’이 있는데, 나는 ‘주먹형’ 갯가재야. 주먹형 갯가재의 앞다리는 권투 장갑을 낀 것처럼 뭉툭하게 생겼어. 앞다리로 강력한 주먹을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공룡·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주위를 돌지만, 행성보다 훨씬 작은 천체를 뜻해요. 지름이 겨우 10m 정도로 작은 것부터 약 530km에 이르는 거대한 것까지 다양하지요. 이 소행성들은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소행성대’를 이루며 돌고 있어요.소행성이 다른 천체들보다 주목받는 이유는 공룡을 휩쓸어버린 6500만 년 전 중생대 ... ...
- 우주에 뜬 인공 ‘눈’, 암흑선단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밝은 빛을 사용했지요. 이런 점을 고려해 어획량을 추정한 결과, 연구팀은 중국 어선이 약 16만 톤에 달하는 오징어를 불법조업했다고 결론을 내렸어요. 연구에 참여한 글로벌어업감시의 박재윤 선임연구원은 “불법조업 피해를 크게 입는 남미와 서아프리카, 동아프리카 국가들이 관심을 보여 같은 ... ...
- [과학뉴스] 아프리카, 소아마비와의 전쟁 끝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감염자 중엔 호흡 관련 근육이 마비돼 사망하기도 하지요. 1950년대에는 전 세계에서 매년 약 50만 명의 어린이들이 소아마비로 목숨을 잃거나 장애가 생길 정도로 치명적이었어요. 그러다 1955년 미국 의학연구자이자 바이러스 학자인 조너스 소크 박사가 백신을 개발하면서 전 세계에 활발히 ... ...
- [이달의 과학사] 샹폴리옹, 고대 이집트 문자 해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상형 문자인 ‘성각 문자’였죠.성각 문자는 기원전 3000년 초반에 만들어졌어요. 무려 약 3500년의 세월 동안 쓰이면서 이집트의 번영을 기록했지만,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한 ‘콥트 문자’가 점점 퍼지면서 6세기에는 아무도 성각 문자를 읽을 수 없게 되었죠. 프랑스 학자들은 로제타석이 성각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