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어떤지 분명치 않다.구석기인들은 사냥뿐 아니라 물고기와 채소로도 음식문제를 해결한
흔적
이 있다. 남생이뼈가 발견된 사실로 미루어 고기잡이를 위해 금강가까지 진출하였으며 채소 열매 뿌리등도 섭취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두루봉유적을 통해 구석기인은 주로 동굴에서 살았음을 알 수 있다. ... ...
여름철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2~4일이 지나면 치유되기 시작하는데, 피부에 색소가 남게 되고 살갗이 벗겨지는 등 '
흔적
'을 남긴다. 심한 경우엔 피부에 흉터를 내기도 한다.이 광독반응은 광독을 유발하는 약들이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일어난다. 이때 상당한 열을 수반하기 때문에 피부를 상하게 하는 것. 따라서 그 증상의 ... ...
예수의 수의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전혀 엉터리임이 밝혀졌다. 이 수의는 길이 14피트, 폭 4피트의 리넨조각인데 피의
흔적
과 성서에 적힌것과 같은 예수의 상처와 비슷한 상처를 지닌 희미하고 갈색인 인간의 모습을 담고 있다.이 천은 예수가 죽은지 13세기 이상 지난 1350년 경에 나타났다. 그전까지 그것이 어디에 있었는지 그리고 왜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실로 오래된 도시다. 9세기말에 '탄론'이란 이름으로 왕도가 된 이래 수많은 영광의
흔적
을 지니고 있다.그런만큼 사원이 많이 있다. 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에는 비길 수 없으나 중국식의 대승불교사원이 볼만하다. 망고나무 그늘에 싸인 '콴탄'사원, 옛날의 민중지도자 츙자매를 모셔놓은 ... ...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리슈매니어 등은 곤충을 매개로하여 인체속으로 들어와 입 주변에 흉한 화상같은
흔적
을 남기거나 내장신경을 상하게 하는 등 여러가지 장해를 일으킨다.대개의 기생충은 그 실태가 아직도 수수께끼 인채로 완전한 예방법이 없다.그런데 이런 일은 소위 발전도상국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 ...
PARTⅠ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하는 행동을 이해하지 못한다. 돌연히 있던 물체가 시야에서 없어지거나, 벽이 깨진
흔적
도 없이 사람이 벽 속으로부터 빠져나오면3차원 사람은 누구나 당황할 것이다. 또 보자기 속의 강아지가 보자기를 풀지도 않았는데 밖으로 나왔다면 3차원세계 사람들은 이를 요술이라고 단정한다.하지만 ... ...
종(種)의 보존을 위한 의지 발생의 신비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고루 존재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이러한 사실은 이들 특정 염기부위가 단지 진화의
흔적
일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런데 더 강력한 암시는 비록 형태는 다르지만 그 형태를 형성하는 근본 메커니즘은 매우 유사할 것이라는 점이다.복제된 골격이 동시에 나온다그러나 생물체를 구성하고 ... ...
금강산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여러 곳, 특히 산맥 서측에 뚜렷한 준평원의
흔적
을 남겨 가지고 있다. 이러한 준평원의
흔적
을 융기준평원(隆起準平原)이라고 부른다. 금강산은 하천의 침식이 아주 심하여 절경을 만들고 융기준평원의 면적을 최소한으로 머물게한 곳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화강암이 주(主)금강산은 대부분 ... ...
인류최초의 발견─불의 사용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지능이 있었으며 이점에서 우리는 우리의 이 조상에게 감사해야만 한다. 허나 이 주구점
흔적
이 정말 가장 오래된 것일까?분명히 아니다. 1988년 12월1일, C.K. 브레인과 A. 사일렌(실렌)이라는 두명의 고고학자가 남아프리카 프레토리아에서 서쪽으로 35마일 떨어진 동굴들에서 보다 오래된 캠프 ... ...
입자와 파동의 한판승부 불확정성의 원리와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하이젠베르그의 고민전자가 안개 가득찬 함(箱)속을 통과할 때는 반드시 지나간
흔적
을 남긴다. 그래서 그 자취를 사진으로 담을 수 있고, 전자위치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자가 혼자 날지 않고 원자핵을 끼고 도는 궤도운동을 할 때는 사정이 달라진다. 즉 보어의 이론에 따르면 궤도상의 어느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