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황소의 발자국은 그 깊이의 정도가 심해서 눈이 다 녹고 질퍽한 뒤에도 상당기간동안 그
흔적
은 남아있게 될 것이다.따라서 우리의 과거 경험 중에서 강한 자극을 받았거나 처리의 수준이 깊은 정보는 오래 기억되어지는 것도 이같은 원리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단계론적 접근이나 처리수준 모형의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갑자기 높이뛰기선수가 되어 담을 넘은 것은 물론 아니다. 또 담에는 아무런 상처나
흔적
도 없다. 그야말로 귀신처럼 담장밖으로 빠져나간 것이다. 마치 굴을 지난 기차가 산 너머로 뾰족 나오듯이 갑자기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이렇게 터널링하는 확률은 ${10}^{22}$분의 1, 즉 1만경분의 1이라는 게 ... ...
킬라우에아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이제는 폐허만 남아있는 이 와하울라는 지난해 여름의 용암 분출로 하마터면 그
흔적
조차 사라질 뻔 했다.엘리스의 등반후 킬라우에아는 곧 모험을 즐기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 되었다. 1866년에는 이들이 머물 호텔이 세워지기에 이르렀다. 이 호텔의 최초의 손님은 '톰소여의 모험'으로 ... ...
프로그래머와 해커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흔적
이나 혹은
흔적
속에 숨겨둔 정보를 확인하여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흔적
은 도스(DOS)가 읽을 수 없도록 사용자들에게는 배드섹터(bad sector)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지문방식도 세부적으로 다음 몇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트랙수를 조정하여 도스가 읽을 수 없게 ... ...
유기농법, 이땅에서도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시키기도 한다. 어린 학생들을 시켜 벌레를 잡아오게 한 뒤 성한 농산물에 벌레가 먹은
흔적
을 내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오히려 비위생적인 농산물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예도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물론 성실하게 유기농법을 도입, 건전한 농작물을 생산하는 농민들도 있다.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학설에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상 철기시대에 서역과 그러한 교류가 있었다는
흔적
을 고고학적으로 찾기 어렵다는 데 근거한 생각이다.고신라의 고분들에서는 10여만개의 유리구슬이 쏟아져 나왔다. 물론 그 시기에는 서역과의 교역이 있었다. 하지만 10여만개나 되는 많은 유리구슬을 모두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끼인 암편 때문에 기반암에 생긴 매끈한 선인 빙하조선(氷河條線)등 얼음과 관련된
흔적
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22일 오후, 북서수로를 벗어나 비글해협 자체에 들어서면서 지질과 지형이 바뀌어졌다. 지금까지는 화강암 위주의 둥글둥글하고 평탄한 지형이었으나, 이제부터는 후기 쥬라기-전기 ... ...
스페인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그리스인 페니키아인 유태인 로마인 아랍인 그리고 크리스트교인 유럽인 등이 거쳐간
흔적
이 곳곳에 남아 있다. 그들이 남긴 문화가 오늘날 스페인을 문화의 보고로 만들었다.북쪽의 녹지대인 칸타브리아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석기시대의 알타미라 동굴벽화가 있다. 또 세고비아에는 아직도 ... ...
제주도의 동굴과 지형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인상적이었습니다. 용암이 동굴 양쪽에서는 천천히 흐르고 동굴 가운데서는 빨리 흐른
흔적
이 보였습니다. 그런데 세계적인 규모라는 제주도의 화산동굴이 고수굴이나 성류굴 같은 석회동굴보다 보잘것 없다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관리나 보존도 허술했고요.서귀포층을 보면서 아이들에게 많은 ... ...
곰은 동면중에 배설을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몸안에 아직도 엉덩뼈의
흔적
이 있으며, 항문 양쪽에 두개의 가시같은 뾰족한
흔적
이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뱀은 다리가 없으므로 이동할 때 비늘을 세우고 옆구리근육을 번갈아 구부러지는 띠처럼 움직인다. 그러면 옆구리가 돌이나 식물줄기 같은 지상의 장애물을 밀어서 앞으로 이동하게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