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엉켜있음이 발견됐다.태양계 위성중에서 가장 큰 가니메데(Ganymede)에서는 지질작용의
흔적
과 최근에 형성된 크레이터(crater) 또는 운석구덩이들을 관측했다. 이 위성은 주로 얼음과 바위로 구성되어 있었다. 칼리스토(callisto)의 얼음 표면은 수없이 많은 크레이터로 덮여 있음도 알아냈다.가장 많은 ... ...
무쇠도끼와 철불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범의 구석 유적에서 출토된 쇠도끼들 중에서 두개는 규소가 각각 0.02% 함유되었거나
흔적
만 남아 있고, 망간은 각각 0.02%와 0.01%가 함유된 시우쇠 제품이었다. 또 세개의 쇠도끼는 탄소가 각각 4.2% 4.05% 4.45% 함유된 무쇠제품이었다. 그리고 한개는 탄소가 1.55% 포함된 강철제품이었다. 이것을 정리하면 ... ...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화산이나 지진활동은 거의 없으며, 또는 증기나 진흙 늪(mud pond) 혹은 고온의 지열
흔적
도 지표에서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지질조건에서는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고온의 지열부존은 기대하기 힘들다.그러나 남한에는 24개소의 온천이 분포하며 그의 수온은 최고 78℃까지의 높은 값을 보이는 ... ...
청동기와 거푸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서유럽에서 초기 인쇄에 사용된 활자가 모래 속에서 부어 만들어졌다는 명백한
흔적
이 남아 있다. 이 사실은 한국 청동활자의 주조법과 공통된다는 점에서 유의할 만하다. 청동활자를 주조해내는 모래 거푸집의 개발은 인쇄술의 혁신을 가져온 기술의 바탕이 되었다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金石倂用期)에 와서야 몽고말의 유적이 발견되지만 그때까지도 우리나라 재래종은
흔적
조차 찾아볼 수 없다.그뒤 위만(衛滿)이 왕검성(王儉城)에 도읍하여 세운 위만조선(현재 그 존재 자체가 논란이 되고 있지만) 때 한나라의 무제(武帝)에게 말 5천마리를 헌상한 기록이 남아 있다. 또 고구려와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높이 2m 남짓한 기초가 남아 있다. 궁의 동서길이는 50m 남북길이는 20m 동서 양쪽에는 화랑
흔적
이 있다. 궁의 동쪽 담 밖에는 연못이 있는 비원이 있었고 북쪽에는 팔각정자가 있었다. 이 일대에는 옛날의 벽돌과 깨어진 가왓장이 많이 흩어져 있다.외성의 남쪽에는 발해의 불교문화 수준을 ... ...
태양계 탐사 본격적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폭발하고 용암을 내뿜는 현상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출의
흔적
은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Enceladus)와 해왕성의 트라이튼(Triton)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견되었다. 또한 천문학자들은 엔셀라두스 가까이서 토성의 고리 밀도가 높아지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것은 위성이 ... ...
거대한 살인고래의 비참한 최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물어뜯긴
흔적
이 뚜렷한 살인고래는 미국 매서추세츠주 '대트머스' 해변에서 발견된 것으로 '로이드' 환경연구소팀이 시체를 조사하고 있다. 살인고래는 고래 중 몸집이 크고 사나와 선원들이 몹시 두려워하고 있는 존재로 먹이가 풍부한 남극권에 많이 살고 있다. 매사추세츠연안에서는 지난 20여년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성벽이 1천5백여년의 세월이 지나는 동안 모두 허물어지고 지금은 돌과 흙으로 쌓은 성벽
흔적
이 간간이 1∼4m 정도 높이로 남아 있다. 그 성벽이었던 자리에는 나무들이 무심하게 자라고 있다.집안에서 북쪽으로 2.5km쯤 간 곳에는 환도산성(丸都山城)이라 쓴 기단 위에 얹은 비석이 있다. 산상왕 때 ... ...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자리 잡은 수표동교회가 옛날을 전해주고 있다.하지만 한강변의 수표를 새긴 암벽은
흔적
도 없다. 필자의 윗 세대도 알지 못하는 것을 보면, 조선 말에는 이미 찾아볼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추측컨대, 노량진 근처의 어딘가로 여겨질 뿐이다. 한강 인도교와 철교가 가설되던 19세기 말 또는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