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타이어 발명가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고무호스를 감싸고 다시 두꺼운 종이를 대서 공기타이어를 발명한다. 이제 아들 조니가
나무
바퀴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져 다치는 일은 없을 거라며 던롭은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그런데 이게 웬일? 조니의 공이타이어 자전거가 너무 잘 달리다 보니 동네 사고뭉치가 돼 버리고 만 것! 가정교육의 ... ...
국가 태풍센터의 착한 태풍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함께 가볼래? 태풍, 네 정체를 밝혀라!큰 바람으로
나무
를 쓰러트리고 많은 비로 홍수를 내는 태풍! 도대체 태풍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 그리고 태풍이 도대체 뭐지? 국가태풍센터의 김태룡 센터장님을 만나 태풍에 대해 여쭤 보았어!도대체 태풍이 뭔가요?태풍은 중심 ... ...
요리조리 꼼꼼 자연을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세로로 길게 뻗은 굴뚝과 대조를 이루고 있어요. 곡선 모양으로 아름답게 휘어져 있는 소
나무
는 가로세로 구도에 새로움을 더해 주고 있어요.색으로 표현한 원근감!세잔의 또다른 작품인 이에요. 세잔은 고향인 남프랑스의 엑상프로방스에 있는이 산을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해 6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만들 계획이다. 장소는 바로 높은 건물들의 옥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옥상에
나무
를 심은 건물은 콘크리트 옥상 건물보다 6.4~13.3%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옥상에 깔아 놓은 흙은 산성비와 자외선을 막아 콘크리트가 부식되는 걸 막아 주고, 소음도 줄여 준다.나팔꽃을 ... ...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이름이 붙었고, 위도에만 살고 있어요. 또 위도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바위댕강
나무
가 있다고 해요. 저는 아직 찾지못했는데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위도에 가면 꼭 한 번 찾아봐 주세요!"선병윤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교수) 나는야 산에 사는 게!위도에는 바다뿐만 아니라 산에 사는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등이 있으며, 이 경우 마주 나는 두 잎이 서로 좌우대칭을 이룬다. 하지만 느티
나무
처럼 잎이 어긋나거나 금송처럼 돌려나는 경우는 그 모습이 비대칭이다. 돌려나기 중에서 마주나는 쌍들이 줄기를 따라 돌려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잎끼리 서로 겹치지 않는 비대칭이다. ... ...
뚝딱 뚝딱~ 고물의 이유있는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게 만들기❶ 만들려는 대상을 잘 관찰하고, 몇 조각으로 만들지 정한다.❷ 알맞은
나무
조각을 골라 목공풀을 이용해 몸통끼리 먼저 붙인다.❸ 받침대에 목공풀을 충분히 묻혀 몸통을 붙인다.❹ 드디어 완성. ▲ 네티즌 1(마우스, 키보드 | 2005)마우스와 키보드로 많은 쥐들이 뱀을 공격하는 모습을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박쥐가 친환경 모기해결사로 알려지면서 모기를 잡기 위해 박쥐가 살 수 있는
나무
집 설치도 유행하고 있다 .한국 모기는 바로 나, 미꾸라지가 잡아요!이탈리아에 모기 잡는 박쥐가 있다면 한국에는 미꾸라지가 있다! 미꾸라지는 물 속에서 모기의 애벌레인 장구벌레나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섞여 걷기가 힘들었다. 맹그로브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펄 해안에서 자라는 열대
나무
다. 맹그로브는 바다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서 잎으로 염분을 내보낸다. 잎을 따서 혓바닥에 갖다대니 짭짤한 소금기가 느껴졌다.저녁에는 실험실에 모여 축의 물고기를 해부해봤다. 축은 열대해양성 기후로 ... ...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보다 빨리 성숙했으며 단명했음을 알아냈다.스미스 박사는 “
나무
가 자라면서 나이테가 생기는 것처럼 치아에도 ‘생장선’이 생긴다”고 말했다. 치아의 생장선은 상아질과 에나멜에 칼슘이 쌓이면서(석회화) 생긴다. 치아 표면에 연속적으로 나열된 생장선의 개수를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