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노
성
분통
분개
노여움
짜증
역정
스페셜
"
화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앞에 매력적인 이성이 서있으면 ‘반했다’라고 해석하지만 무례한 사람이 있을 경우 ‘
화
났다’가 된다. 긴장의 경우도 ‘혹시 조금 신난건가?’라고 물어보는 것 만으로 살짝 신난 듯이 느껴지는 효과가 있다. 감정의 존재를 무시하지 않고 받아들이되 과대해석 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해보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아무것도 당신의 눈을 어지럽히지 않을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
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
2017.04.01
감정을 인식(negative self-conscious emotions) 5. 타인을 용서하고
화
해하듯 자신을 용서하고
화
해하기. 스스로를 용서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1.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지 못함. 2. 스스로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기준(예 완벽주의)을 가지고 있음 3. 다른 사람의 시선을 지나치게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
2017.03.25
등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잠이 모자라면 ‘감정’ 조절도 잘 안되서 작은 일에
화
를 내게 되거나 급 기분이 나빠지는 등 기분이 롤러코스터를 타는 현상도 더 잘 나타난다. 쉽게 폭발하고 왔다갔다 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끼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모자란 잠’은 우리가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
2017.03.12
많은 갑질들이 그러하듯 힘을 가졌다면 ‘이 정도는 할 수 있다’는 사회의 인식이나 문
화
역시 책임질 부분이 커 보인다. 남성이 항상 여성 위에 존재해야 하며 항상 세 보여야 하고 ‘기’가 살아 있어야 한다고 하는 성차별적 인식 역시 남성들로하여금 ‘과도한’ 권력욕을 갖게 만들고 소위 잘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
2017.01.31
‘무관심’, 자신들이 적대하는 집단의 성공이라고도 언급했다. 합리적인 대
화
와 설득, 평등에 대한 메시지보다 우리 집단의 위대함에 타집단을 ‘굴복’시켜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수단이든지 다 쓸 수 있다는 메시지가 더 힘을 얻는 상황에서 어떤 대안들을 만들어 갈 수 있을지 많은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
2016.12.22
사태를 진정시킬 수 있는 확실하고 효과있는 뾰족한 수가 나타나길 바라며, 이번
화
문을 닫습니다. ※취재팀주 그 어떤 때보다 큰 규모의 조류독감이 난리입니다만. 사람들에게 빠르게 알려져야 할 관련정보들이 다른 이슈에 묻혀 전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계속해서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
2016.12.21
하기 때문입니다. 조류독감 백신 논쟁이 과학자들만의 탁상공론이 아니길 바라며 이번
화
는 문을 닫습니다. ※취재팀주 그 어떤 때보다 큰 규모의 조류독감이 난리입니다만. 사람들에게 빠르게 알려져야 할 관련정보들이 다른 이슈에 묻혀 전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에서는 4회에 ... ...
장년 외벌이 부부를 위한 재테크 포인트
2016.12.21
즉, 은퇴 후 좀 더 작은 평수 혹은 좀 더 변두리로 아파트를 옮겨서 차액을 평생 소득
화
하는 것이다. 김희망 씨가 살던 지역과 지인들을 떠나고 싶지 않다면 주택연금을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단기적 ‘몰빵’ 투자보다 장기투자 계획 세워야 남은 직장 생활 동안 금융투자는 어떻게 ... ...
슬픔을 피하지 않는 사람이 더 행복한 이유
2016.12.20
원리에서 착안해 사람들마다 평소에 느끼는 감정의 다양성이 어느정도 되는지를 수치
화
했다. 평소에 느끼는 감정의 수가 0이라면 감정 다양성 수치는 0이고, 감정의 수가 늘어날수록 감정 다양성 수치 또한 증가하는 식이었다. 약 3만 명의 프랑스인과 약 1000 명의 덴마크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