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상식"(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해독차 증기 들이마시면 효과?” 미세먼지 둘러싼 거짓정보들 동아사이언스 l2019.12.08
- 오히려 부작용이 크다거나, 특정 음식으로 체내 미세먼지를 배출할 수 있다는 등 잘못된 상식들이 퍼져 있다. 유튜브 캡처 "미세먼지 마스크는 차단 효과가 별로 없으며, 오히려 호흡곤란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고등어, 해조류, 귤, 녹차, 브로콜리를 먹으면 체내 미세먼지 속 세균이 활성화하지 ... ...
- [인류와 질병] 우리는 왜 위험한 선택을 할까···질식분만의 진화 2019.11.30
- 해방될 수 있을까? 하지만 그렇지 않다.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는 제법 큰 수술이다. 상식적으로 정상적인 분만보다 덜 위험하다면 이상한 일이다. 신생아의 체중은 진화적 안정 선택의 대표적인 예다. 가장 최적의 형질로 수렴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생물이 가진 대부분의 형질은 바로 안정 ...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동아사이언스 l2019.11.24
- 노벨상이라는 ‘상징’ 저는 IBS의 미션이 노벨상을 타기 위한 것이라는 대단히 비상식적인 오해는 없어졌으면 합니다. IBS는 ‘노벨상’을 미션으로 내세운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일이 없을 것입니다. 저도 IBS가 노벨상을 받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고 그래서 연구단장들이 곧 노벨상을 탈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배란일 다음날 관계하면 딸 낳는다?" 동아사이언스 l2019.11.12
- 유튜브와 맘카페 등에서는 원하는 성별을 선택해 임신하는 비법이 널리 퍼져 있다. 유튜브, 네이버카페 캡처 “첫째가 아들이에요. 둘째는 딸을 가지려는데 비법을 알려주세요.”, “딸을 임신할 확률을 높이는 음식이 있다는데 어떤 건가요?”, “셋째는 아들을 가지려는데 배테기(배란테스트기) ... ...
- [인류와 질병] 우등생일수록 근시 많다는 이야기 사실일까2019.11.09
- ‘인과 관계의 방향성’은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양의 상관도를 가지고 있다. 물론 상식적으로 근시가 높은 지능의 원인일 것 같지는 않지만. 몇 가지 가설이 있다. 일단 눈이 너무 쑥쑥 자라면 근시가 온다. 그런데 눈은 일종의 뇌 신경이다. 따라서 눈의 성장과 뇌의 성장이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항암치료 위험해서 의사들은 안 받는다고?"동아사이언스 l2019.11.07
- 등을 검색해보면 수많은 정보들이 쏟아져 나온다. 여기에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의학상식도 있지만,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도 있다. 유튜브 캡처 "동물용 구충제인 펜벤다졸을 먹으면 암이 완치된다. 암의 원인이 기생충이라는 사실은 이미 의약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돈벌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2019.11.07
- 특정 인물을 칭송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기술이 비판적이 되는건 아니다. 상식적으로 불합리한 역사를 다루면서 이를 중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식은 칭송을 한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박정희식 패러다임 하에서 정치에 종속된 과학기술의 폐해와 ...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2019.10.27
- 하드자족의 신체적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 PAL)은 서구인보다 월등히 많은데 말이다. 상식에 반하는 결과지만, 사실이다. 현대인이 뚱뚱해지는 이유는 피트니스센터에 가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식당에 너무 자주 가기 때문이다. 허리에 붙은 살이 험난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적응의 ...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2019.10.19
- 없었다. 분명 하드자족의 신체적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 PAL)은 아주 높은데 말이다. 상식에 반하는 결과지만, 사실이다. 현대인이 뚱뚱해지는 이유는 피트니스센터에 가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식당에 너무 자주 가기 때문이다. 허리에 붙은 살이 험난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적응의 결과라고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2019.10.17
- 게 오히려 자연스럽다. 현대의 과학자라고 해서 크게 다르지 않다. 이미 알고 있던 상식 또는 확립된 결과와 맞지 않는 데이터가 나오면 뭔가 실험과정에서 잘못된 것이 없는지부터 살피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케플러가 브라헤의 데이터를 끝까지 믿은 것은 참 놀라운 일이다. 인간적으로 사이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