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식
지혜
기지
센스
보통생각
일반생각
재치
스페셜
"
상식
"(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출시해 대성공을 거두었다. 화장품을 바르거나 성형수술을 해서 예뻐지는 한국인의
상식
을 버리고, '먹어서 예뻐진다'는 중국인의 발상을 따랐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20대의 감성을 이해하기 위해 50대 CEO가 젊은이들의 문화공간을 찾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일 것이다. 쇼핑몰이나 플랫폼 사업을 하는 ... ...
발열공포, 해열제로 해소되나?!
KISTI
l
2015.10.19
낫게 하기는커녕 아이를 더욱 괴롭힐 수 있다. (TIP) 열에 대해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상식
Q. 아이 체온이 38℃를 넘었어요! 뇌가 손상되면 어쩌죠? A. 단순 감기로 인한 열 때문에 뇌가 손상된다는 건 근거 없는 오해랍니다. Q. 아이가 열성경련 경험이 있어요. 빨리 해열제 먹여야겠어요. A.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공간을 인식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진공을 관찰하기 어렵거나 진공을 가정할 경우
상식
적으로 불가능한 일이 일어나야 한다는 식의 단순한 이유가 아니라, 탄탄한 철학적,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텅 빈 공간의 불가능성을 보였기 때문이다. 물질로 꽉 찬 우주 르네 데카르트는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두 가지 사건에 대한 확률이 공존한다. 중첩을 정확히 이해하려면 확률에 대한 일반적인
상식
에서 다소 벗어나야 한다. A라는 물체가 B에 있을 확률이 10%라면 10번 중 한 번은 B 장소에 있고 나머지 9번은 B에 없다는 뜻이다. 이때 A는 결코 같은 시간에 두 곳에 존재할 수 없다. A가 B에서 발견된다면 A는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지원 심사에서도 탈락하기 일쑤다. 지금까지의 노벨상이 보여준 경향은 분명하다. 기존
상식
을 깨뜨리고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연구가 아니면 인정을 받기 어렵다.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려면 창의적이지만 쓸모없어 보이는 연구에도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다수 남겼다. - Library of Congress Prints and Photographs Division 제공 머이브릿지의 사진은 기존의
상식
을 깼다. 말은 결코 양 다리를 동시에 움직이지도 않았고 고전적인 그림에서 나온 것처럼 뛰어가는 동안 양 발을 기지개 켜듯 내뻗으면서 허공에 떠 있는 순간도 없었다. 말은 언제나 좌우 양쪽 다리를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열의 이동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사실 블랙이 와트에게 설명한 것은 오늘날에는
상식
에 속한다. 물이 기체로 변하게 되면 무려 1,700배로 부피가 증가하므로 그것을 조그마한 통에 넣는다면 대단히 큰 압력을 갖는다는 것은 로버트 보일(Robert Boyle, 1627~1691)에 의해 이미 알려진 내용이었다. 그러나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서비스를 제공했을 뿐이다. 소셜미디어에 비범함을 제공한 주역은 다름아닌 사람들의
상식
과 습관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청하기보다는 떠들기를 좋아한다. 남의 생각을 듣기보다 자신의 생각을 내뱉는 데 더 익숙한 것이다. ‘입은 하나이나 귀는 두 개인 이유는 많이 듣고 적게 말하라는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바로 1900년 시작된 영국과 미국간의 무선통신 실험이었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과학적
상식
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무모한 시도였다. 지구가 평평하다면 모를까, 5,000km가 넘게 떨어진 곳까지 중계 없이 전자기파를 전달한다는 것은 불가능해보였다. 그러나 실험을 시작한 지 1년여가 지난 1901년 12월 1 ... ...
반도체의 탄생과 새로운 지평
KOITA
l
2013.06.17
따르지 않고 라틴어/독일어식인 ‘게르마늄’ 표기를 적용했습니다. 저마늄이 일반인의
상식
에 익숙하지 않은 표기임을 감안한 결정이오니 다소 거슬리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실리콘 역시 ‘규소’라는 국명을 사용하지 않고 IT 산업 재료로서 익숙한 명칭인 ‘실리콘’을 일관되게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