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국시대인은 현대 한국인과 닮았다...게놈 최초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나온 27개의 뼈와 치아 샘플에서 DNA를 추출한 뒤 염기서열 정보를 게놈
해독
기로
해독
하고 이 중 8명의 고품질 게놈 데이터를 다양한 생정보학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했다. 생정보학 프로그램은 게놈 분석 데이터 등 생물학적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다. 그 결과 8명 중 6명은 현대 한국인, ... ...
뇌 신호 안전하고 정밀하게 측정하는 하이드로젤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공정 과정에서 투입하는 화학물질은 세포독성이 강해 생체용 전자소자로 쓰려면 다시
해독
과정을 거쳐야 해 복잡한 제조 과정이 문제로 지목받아 왔다. 레이저를 이용해 전도성 고분자 PEDOT:PSS를 국소 상 분리하는 공정이다. 서울대 제공 연구팀은 독성 물질 없이도 레이저의 광열화학반응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공룡의 피는 따뜻했을까
2022.05.31
두고 고인류학계가 둘로 나뉘어 수십 년 동안 싸우다가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이
해독
되면서 단번에 해결됐다(혼혈이 일어난 것으로). 이번 분석법이 게놈 데이터처럼 확실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만일 그렇다면 50년 이상 끌어온 공룡 체온 메커니즘 논쟁을 끝낸 것이므로 연말에 ‘2022년 10대 ... ...
2000년전 폼페이 최후의날 맞은 남성 DNA
해독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5.27
50세 이상의 여성이었다. 연구팀은 두 사람의 DNA를 모두 추출해 분석했으나, 남성의 DNA만
해독
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여성 유해로부터는 얻은 DNA는 일부분이 빠져 있었다. 연구팀은 남성의 DNA 염기서열을 고대인 1037명, 현재 서부 유라시아인 471명의 DNA와 비교했다. 그 결과 고대 로마인과 더불어 ... ...
KT "1㎞ 구간 무선 양자암호 전송 성공…국내 최장 거리"
연합뉴스
l
2022.05.17
광자에 정보를 담아 암호화해 전송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송신자와 수신자만
해독
할 수 있고 양자컴퓨터의 공격을 막아낼 만큼 보안성이 뛰어나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KT는 국내 최장 거리에서 무선 양자암호를 전송하는 성과를 거두면서 향후 ... ...
10년 걸린 연구 3개월에 끝낸다…구글 AI '알파폴드'가 주도하는 생명과학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돌연변이를
해독
하기는 쉽지 않다. 딥마인드는 알파폴드가 새로운 돌연변이 단백질을
해독
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방안을 연구중이다. 이를 위해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서 어떻게 아미노산이 접히고 바뀌는지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차세대 신경망을 개발하는 ... ...
중국 102.2㎞ 최장거리 양자직접통신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난수표(암호키)를 갖고 있으면 암호화된 메시지에 더해진 난수를 다시 빼는 방식으로
해독
할 수 있는데, 이때 두 사람이 같은 1회용 난수표를 양자물리학적 방법으로 나눠 갖는 것을 양자키분배라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과학원은 지난 2018년 중국 베이징에서 오스트리아 비엔나까지의 7600㎞에 ... ...
방역당국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XE 2건, XM 1건 확인…국내 발생 가능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데는 역학적인 인과성과 또 분자생물학적으로 유전자염기서열을
해독
하는 방법이 있다”며 “XE형과 XM형 1건 모두 국내 발생 가능성도 충분히 높다 판단하고 있고 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XE 변이는 BA.2보다도 약 10% 빠른 증가속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미생물 대사물질 생산 최적화하는 밸브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대장균에 존재하는 1600여 개의 전사종결부위를 대량
해독
하고 발굴해 이를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합물 생산을 위한 미생물 대사 회로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전사종결부위는 DNA가 암호화하는 정보를 리보핵산(RNA)로 전사할 때 합성이 끝나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유전자원의 정보를 알아내면 빵밀 품종개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42개체의 게놈을
해독
한 결과 이 가운데 조지아에서 채집한 5개체가 기존에 알려진 L1과 L2 두 계열과 꽤 다르다는 게 드러나 L3이라는 세 번째 계열로 분류했다. 지금까지는 L2 계열의 타우쉬이가 빵밀의 게놈에 참여한 것으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