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英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발견" WHO 보고…전문가들 "변종 여부 아직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지적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9월 8일자에 따르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게놈이
해독
된 뒤 1만2000개 이상의 유전자 변이가 확인됐다. 이들 변이는 주로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일어나며 아미노산이 다른 단백질로 대체되는 식으로 완전히 다른 종의 출현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 ...
실험실에서 키운 한우 세포로 만든 스테이크 식탁 위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프로젝트를 진행해 2009년 가축 중에서는 처음으로 헤리퍼드 품종의 소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
해 공개했고, 이를 토대로 농촌진흥청은 국립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NABIC)를 구축해 두 종류의 소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 대표는 “송아지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마블링 관련 대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미국 연구팀이 이 가운데 X염색체의 염기서열을 끝에서 끝까지 결손 구간 없이 대부분
해독
하는 데 성공했다. 네이처 논문 캡쳐 1900년 극적으로 멘델의 유전법칙이 재발견되기는 했지만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아는 바가 없었다. 월터 서턴과 테오도르 보페리는 1903년 ... ...
[주말N수학]수학의 다양화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20.12.05
피퍼 교수는 1996년 격자 암호 중에서도 다른 암호 기법에 비해 빠르게 암호화하고
해독
할 수 있는 ‘NTRU 암호화 알고리듬’의 초기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그는 같은 해에 세 명의 브라운대 교수와 함께 ‘NTRU 암호화 알고리듬’을 활용해 무선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보안 프로그램을 만드는 회사를 ... ...
미생물과 박테리오파지가 주기율표 원소 55종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생물을 유전적으로 조작해 미생물이 금속 이온을
해독
하는 과정에서 나노재료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특훈교수팀 외에 해외 연구팀도 이와 유사한 연구결과를 학계에 여럿 보고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무기 나노재료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 ...
"쓸모없는 기초연구는 없다" 코로나 극복 터 닦은 7명 '황금거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개발을 시도한 덕분에 올해 1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게놈이
해독
되자마자 백신 후보물질을 찾아냈고, 이는 코로나19 백신이 신속히 개발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위치한 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백신연구센터 부소장인 바니 ... ...
옥스퍼드대 코로나19 백신 어떻게 '속도전'에 성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방식 등도 이유로 지목됐다. 옥스퍼드대 외에 모더나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게놈이
해독
된 지 10주도 되지 않아 mRNA 백신 임상 1상에 돌입했다. BBC는 영국 정부가 백신이 개발되기도 전에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400만 도스 공급 준비를 마쳤다며, 영국과 유럽연합(EU) 등에서 긴급 ... ...
[코로나19 연구속보] 캄보디아와 일본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발견...팬데믹 기원 알려줄까
2020.11.24
잡힌 두 마리의 관박쥐(Rhinolophus shameli)에서 발견됐다. 바이러스의 게놈은 아직 완벽히
해독
되지 않은 상황으로 발표되진 않았다. 프놈펜에 위치한 파스퇴르 연구소의 바이러스학자인 비스나 두옹 박사는 "만약 이 바이러스가 팬데믹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조상이거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SARS-CoV-2가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확인했다. 그 결과 4개의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RNA
해독
등 추가 분석을 한 결과 샤페론 단백질 가운데 하나인 ‘섭티16에이치(Supt16h)’가 조혈줄기세포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정상 제브라피쉬(왼쪽)와 Supt16h 돌연변이 제브라피쉬의 ... ...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바이러스 성장 단백질 연구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규명하는 현재 연구를 소개할 예정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올해 초
해독
됐지만 전사 구조와 단백질 함량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은 사스-CoV-2 전사체의 고해상도 맵을 제작해 바이러스성 전사체가 수많은 불연속 전사 이벤트로 형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