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전 폼페이 최후의날 맞은 남성 DNA
해독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5.27
50세 이상의 여성이었다. 연구팀은 두 사람의 DNA를 모두 추출해 분석했으나, 남성의 DNA만
해독
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여성 유해로부터는 얻은 DNA는 일부분이 빠져 있었다. 연구팀은 남성의 DNA 염기서열을 고대인 1037명, 현재 서부 유라시아인 471명의 DNA와 비교했다. 그 결과 고대 로마인과 더불어 ... ...
KT "1㎞ 구간 무선 양자암호 전송 성공…국내 최장 거리"
연합뉴스
l
2022.05.17
광자에 정보를 담아 암호화해 전송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송신자와 수신자만
해독
할 수 있고 양자컴퓨터의 공격을 막아낼 만큼 보안성이 뛰어나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KT는 국내 최장 거리에서 무선 양자암호를 전송하는 성과를 거두면서 향후 ... ...
10년 걸린 연구 3개월에 끝낸다…구글 AI '알파폴드'가 주도하는 생명과학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돌연변이를
해독
하기는 쉽지 않다. 딥마인드는 알파폴드가 새로운 돌연변이 단백질을
해독
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방안을 연구중이다. 이를 위해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서 어떻게 아미노산이 접히고 바뀌는지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차세대 신경망을 개발하는 ... ...
중국 102.2㎞ 최장거리 양자직접통신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난수표(암호키)를 갖고 있으면 암호화된 메시지에 더해진 난수를 다시 빼는 방식으로
해독
할 수 있는데, 이때 두 사람이 같은 1회용 난수표를 양자물리학적 방법으로 나눠 갖는 것을 양자키분배라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과학원은 지난 2018년 중국 베이징에서 오스트리아 비엔나까지의 7600㎞에 ... ...
방역당국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XE 2건, XM 1건 확인…국내 발생 가능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데는 역학적인 인과성과 또 분자생물학적으로 유전자염기서열을
해독
하는 방법이 있다”며 “XE형과 XM형 1건 모두 국내 발생 가능성도 충분히 높다 판단하고 있고 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XE 변이는 BA.2보다도 약 10% 빠른 증가속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미생물 대사물질 생산 최적화하는 밸브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대장균에 존재하는 1600여 개의 전사종결부위를 대량
해독
하고 발굴해 이를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합물 생산을 위한 미생물 대사 회로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전사종결부위는 DNA가 암호화하는 정보를 리보핵산(RNA)로 전사할 때 합성이 끝나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유전자원의 정보를 알아내면 빵밀 품종개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42개체의 게놈을
해독
한 결과 이 가운데 조지아에서 채집한 5개체가 기존에 알려진 L1과 L2 두 계열과 꽤 다르다는 게 드러나 L3이라는 세 번째 계열로 분류했다. 지금까지는 L2 계열의 타우쉬이가 빵밀의 게놈에 참여한 것으로 ... ...
인간 유전체 풀리지 않던 '8% 빈칸' 모두 채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읽어낸다. 연구팀은 이번에 2억 개의 DNA 염기쌍을 새롭게 밝혀내면서 인간 유전체 중
해독
된 염기쌍의 수를 30억 5500만쌍개로 늘렸다.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유전자 약 2000개와 DNA 변이 200만 개도 새로 발견했다. 622개 변이는 질환과 연관된 유전자에서 확인됐다. T2T 컨소시엄 공동 의장인 애덤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유전자 서열 마지막 8% 조각을 맞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영역에 머핀을 투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인간 유전자 서열을 완벽하게
해독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머핀을 개발해 이번 연구에 참여한 줄리오 포르멘티 미국 록펠러대 박사후 연구원은 “한때 쓰레기 DNA라고 불렀던 것을 마침내 파헤쳤다”며 “이제는 반복되는 유전자 서열이 ... ...
유전질환 위험 99% 예측하는 착상 전 배아 유전체 검사, 윤리논쟁은 '진행형'
2022.03.28
쿠마르 최고의료책임자(CMO) 연구팀은 수정 후 수일이 지난 배아의 유전체 정보를 정확히
해독
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다. 체외수정으로 만들어진 배아는 착상 전 유전자 검사(PGT)가 가능하다. 하지만 유전체를 정확히 알아내기 힘들어 염색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