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점
발광
효율 100% 구현 초균일 반도체 껍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약 0.3nm 두께의 초균일 껍질을 핵 표면에 성장시켜 이론적 한계치에 근접한 97.3%의
발광
효율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임재훈 교수는 “이번 연구가 차세대 양자점 디스플레이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양자점 대량 양산, 소자 구조 설계, 패터닝 공정 전반에 걸친 ... ...
사용시간 100배 늘린 가스센서 개발...정확도는 99.3%
동아사이언스
l
2023.02.14
전력량이 높은 점이 문제가 된다. 연구팀은 히터 대신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의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LED)를 활용했다. 이 박사과정생은 “LED 층 위에 실리콘으로 절연, 그런 다음 센서 전극과 금속산화물을 올려 반도체식 가스센서를 만들었다”며 “히터 대신 LED에서 나오는 빛을 이용해 가열을 하는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월 수상자에 박상도‧류동열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집적회로를 개발해 해당 분야의 외산 의존도를 낮췄다. 이 밖에 생활가전 관리에 필요한
발광
다이오드(LED)와 회로의 동작 상태를 소리로 경고하는 버저, 키 스캔 및 다이얼 기능을 통합한 고전압 기능 집적회로를 개발해 기존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기능을 대체했다. 류동열 대표이사는 ... ...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화소밀도 3배 향상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수 있는게 장점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웨이퍼에서 분리한 적·녹·청색
발광
LED 막을 팬케이크처럼 수직으로 쌓고 4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화소를 식각화했다. 그 결과 5100 PPI급 총 천연색을 구현하는 극미세수직화소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PPI는 디스플레이 1인치 당 화소 수를 따진 ... ...
마이크로LED 픽셀 수직으로 쌓아 디스플레이 화질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LED는 유기소재를 재료로 사용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달리 질화갈륨(GaN)을 사용해
발광
효율이 더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픽셀을 수직으로 쌓는 방법을 이용하면 픽셀이 차지하는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1인치에 약 5000픽셀을 넣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지호 MIT 재료공학과 ... ...
[프리미엄 리포트]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01.28
빛을 내는 0차원 반도체 소재입니다.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퀀텀닷이라도 크기에 따라
발광
하는 색이 달라집니다. 디스플레이에서 원하는 색의 빛을 만들려면 특정한 파장의 빛만 뿜어내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기존 물질로는 특정한 파장만 만들기 어렵습니다. 빨간 빛을 만들었는데 빨강과 함께 ... ...
가격 10분의 1 낮춘 암 진단 기술, 국내 연구진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등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펨토초 레이저를 반도체
발광
소자(다이오드) 결합 방식으로 제작한 ‘비선형 라만 분자진동 영상기술(CARS)’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옵틱스 익스프레스’ 최신호에 게재됐다. 펨토초 레이저 기반 라만 ... ...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윤광희·조현석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구축해 국내 전력관리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조 이사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반도체와 스마트폰 핵심 소재인 인터페이스 전력관리 반도체를 개발 및 양산해 14년간 약 2조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 또 자동 레이아웃 생성기를 개발해 원가 ... ...
생쥐에 이식한 인간 뇌, 외부 자극에 반응 순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기능을 유지하는 모습은 물론 자극에 반응하는 모습까지 정확하게 기록했다. 백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조사한 뒤 뇌의 반응을 관찰하는 실험에서 투명 그래핀 미세전극은 빛을 인식한 뒤 불과 수 밀리초(ms·1ms는 1000분의 1초) 동안 일어나는 전기 스파크를 기록했다. 2광자 현미경은 이식된 뇌 ... ...
[과기원은 지금] KAIST팀 상금규모 26억 해양로봇대회 결선 진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개발에 성공한 방식은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발광
소자를 제조하는 표준방식으로 OLED 디스플레이 제조 단가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