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발광"(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GIST, 빛의 진동방향 조절하는 카이랄 발광 소재 최초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9
- 나선구조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기존 유기분자 기반 원편광 발광 소재의 단점인 낮은 발광효율의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빛을 내는 분자(형광단, 발색단, 염료, 색소 등) 도입으로 다채로운 파장대의 빛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기술은 상온에서 양자 정보를 조절할 수 있어 ... ...
- KAIST '전자 코' 기술, 2023년 10대 나노기술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3.12.29
- 10대 나노기술로 선정됐다. KAIST는 박인규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가스 센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수여하는 2023년 10대 나노기술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십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크기의 초소형 LED ... ...
- [과기원NOW] KAIST, 원하는 색깔의 '마이크로 LED 전사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12.19
- KAIST는 이건재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마이크로진공 흡입력을 조절해 대량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칩에서 색깔별로 원하는 칩들만 선택적으로 전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레이저빔 조사 시 물질 특성을 조정해 화학약품의 부식작용을 응용해 표면을 가공하는 레이저 ... ...
- 와이파이보다 데이터통신 100배 빠른 '전등 빛'동아사이언스 l2023.12.08
- 기존 광원을 대체할 새로운 광원을 개발했다.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혼합해 일반 조명처럼 백색광으로 보이지만 서로 간섭되는 영역이 적은 광원을 만든 것이다. 이 OLED에 각 파장의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 '캐비티 구조'와 특정 파장의 빛만 잘 ... ...
- 심해 채굴로 스트레스받는 해파리…생태계 전반도 위협동아사이언스 l2023.11.22
- 몸을 가진 동물들은 평소 투명한 물 환경에서 산다. 이들의 의사소통 방식은 ‘생체 발광’인데 이는 깨끗한 물에서만 작동한다는 게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흙탕물 환경은 동물의 생존 방식을 크게 바꿀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해파리 외 심해에 사는 다른 생물들도 비슷한 ... ...
- 드론 DJI 산실 홍콩 I&T...가치 1조원 이상 유니콘기업만 12개동아사이언스 l2023.11.17
- 은 정밀한 3D 홀로그램 기술 '인패니티(Infanity)3D'를 선보였다. 특허를 받은 고강도 스피닝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을 적용해 기존보다 선명하고 정교한 홀로그램을 표현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2018년 출시된 이후 15개국에 수출됐다. 홍콩 AI 로봇기업 '센스타임'이 개발한 사람과 장기를 둘 수 있는 ... ...
- 누리호·초소형유전자가위...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3.11.09
- 양자점을 이용한 고해상도 칼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발’ 성과 등이 선정됐다. 발광다이오드(LED) 웨이퍼에 2차원 반도체를 활용, 고해상도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반도체 회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향후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의 복잡한 제작 공정 단순화 및 고성능 ... ...
- [과기원NOW] KAIST, 국내 최초 스프링거네이처와 오픈액세스 계약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23.10.20
- 차량 및 소프트웨어, 다중센서 융합 기반 안전관제 플랫폼, 수소연료전지 및 미케노발광 소자 등 40여개의 전시품을 마련해 관객이 실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했다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2023.10.16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양자점이 특정 암 조직에 붙어 발광하도록 하는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는 등 차세대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기술 경쟁도 치열하다. 산학연의 선순환적인 연구 환경을 통해 양자점 기술이 다양한 응용기술로 계속 발전할 것으로 ... ...
- 피부처럼 늘어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09.27
- 회로나 모양을 가공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스탬프 표면 에너지 제어를 통한 발광층 전사 기술을 개발했다. 테이프처럼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점탄성 스탬프 위에서 진행해 필름이 안정적으로 부착되며 작은 크기의 패턴도 왜곡 없이 얻을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최저 150μm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