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GIST, 7년만에 학부생서 박사되는 ‘패스트 트랙’ 신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잘 작동하고 제작이 간단하다. 연구팀은 개발된 소자가 외부 환경 변화에 강한 전광판과
발광
현수막 등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케미칼 엔지니어링 저널’에 실렸다. ■ 포스텍은 오용근 수학과 교수가 집필한 ‘라그랑지안 플로어 이론과 그 변형’이 출판사 ... ...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데 그쳤다. 기존 방식으로 만든 디스플레이에서는 똑같이 잡아당겼을 초기 69%에서 42%로
발광
면적비가 감소한다. 연구팀은 "이 디스플레이는 구형 물체, 실린더, 인체 부위와 같은 곡면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한다"고 말했다.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디스플레이 개념도. KAIST 제공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제작했다. 섬유형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은 기존에 비해 40%, 섬유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효율은 48%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M13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면 소재의 표면 플라즈모닉 효과를 극대화한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전자소자를 만드는 기업에 파격적인 경제적 효과를 ... ...
영국·인도·에티오피아 대기오염, 디지털 작품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6
질량 농도를 측정한 뒤 센서의 실시간 신호를 사용해 농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깜빡이는
발광
다이오드(LED) 판을 만들었다. 사진에 밝은 점이 많을수록 PM 농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프란시스 포프 버밍엄대 교수는 “대기 오염은 세계적인 환경 위험 요소”라며 “빛으로 그림을 그려 ... ...
[과기원NOW] KAIST, 세포막 간 상호작용 매개하는 '지질 뗏목'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NIL) 공정을 이용해 양자점이 포함된 메타표면을 제작하고
발광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이 제작한 메타표면은 기존에 비해 양자점에서 방출된 특정 방향의 빛을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2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 ...
[과기원NOW] DGIST-포스텍 연구팀, 충격에 강한 차세대 신축성 전자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발생하는 변형을 분산시켜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했다. 장경인 교수는 "신축성 마이크로
발광
소자, 히터와 같은 응용에서 시스템 안정성을 확인했다"며 "연구 내용을 더 발전시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 ...
값싼 신약·색감 바꾸는 OLED, 계산화학으로 가능해진다
2024.05.24
있다. OLED는 전기를 가하면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질로 만든다. 특정한 색깔을 내는
발광
층과 전자가 이동하는 수송층의 유기물질이 빛을 내는 최적의 조건을 찾는 설계가 디스플레이 성능을 좌우한다. 최근 OELD에 쓰이는 청색 소자의 안정성을 높이는 유기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한데 ... ...
'3수생'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예타 통과…예산·위성 개수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모듈러 센터를 충남 아산시 탕정면에 구축 하는 사업이다. 액정디스플레이(LC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이후 주목받는 차세대 iLED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안됐다. iLED는 LCD·OLED 대비 신뢰성과 휘도가 높고 수명이 길다. 이번 사업을 계기로 아직 선두 국가가 ... ...
사람 필요없다…전세계 자동화 실험실 AI로 통합해 레이저 신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5.18
토론토에서는 로봇이 블록을 전달받아 다양한 조합으로 엮어 신물질 후보로 만들고
발광
특성을 분석했다. 다시 UBC에서 신물질의 대량 합성 및 정제 방법을 결정한 뒤 규슈대 연구소에서는 신물질의 레이저 특성을 테스트했다. 전체 작업 과정은 IBS와 토론토대가 공동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AI ... ...
배터리 없이도 빛나는 ‘소프트 미케노
발광
복합체’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연구 결과가 더 적은 힘으로 더 밝은 미케노
발광
복합체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는 미케노
발광
의 새로운 응용분야 창출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