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혈관 움직임 실시간 촬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광혈류측정기는 스마트워치의 심박수 측정 센서에 주로 활용되는 기술이다. 피부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쐈을 때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지만 혈관의 움직임을 비롯해 몸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직접 ... ...
고지방식이 왜 암에 나쁜지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연합뉴스
l
2022.05.18
분자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이 암에 작용하는 산화질소의 근적외선 생체
발광
이미지를 포착한 것도 이 분자 프로브 덕이다. 실험 모델로는 인간의 간 전이암 조직과 생쥐에 생긴 유방암 조직을 썼다. 원래 '분자 프로브'는 인접한 분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쓰는 원자 및 분자 ... ...
최고 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21% 이상의 고효율
발광
소자도 제작했다. 이태우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체 및
발광
다이오드를 상용화하는 데 걸림돌이었던 대면적 소자 제작에 필수적인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5월 4일자로 게재됐다 ... ...
코에 뿌려 바이러스·세균 제거하는 스프레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2
스프레이 ‘리노딜라이트’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코에 스프레이를 뿌린 후 3~5분간
발광
다이오드(LED) 빛을 쪼면 활성산소가 나와 이물질을 제거하고 코점막을 촉촉하게 보호한다. 지난달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판매 인증을 받았다. 디알나노는 김세훈 KIST 화학생명융합연구센터 센터장 ... ...
유해한 폐식용유 눈으로 보고 거르는 형광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8
27일 밝혔다. 형광 센서는 특정한 이온이나 물질을 감지하면 빛으로 신호를 내는
발광
센서를 뜻한다. 식용유를 오랫동안 쓰면 해로운 물질이 생겨 폐식용유가 된다. 그러나 이런 오래된 폐식용유 중 일부를 그대로 식품 제조에 쓰며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 통상 기름 검사법은 ... ...
[과기원은 지금]UNIST, 생체친화 재료 이용해 암 세포 죽이는 광감각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고휘도 빛을 방출하면서 신축성이 있도록 개선했다. 이를 통해 고휘도, 저비용, 신축성
발광
소자 제작이 가능해져 외부의 환경변화에 강한 전광판과 현수막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응용물리학 리뷰’ 지난달 21일자에 게재됐다 ... ...
실오라기 한 올 위에 흰색 OLED 입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0
에너지 전달 과정을 최적화해 디스플레이가 휘어지거나 하는 구동 환경에 따라 흰색
발광
의 색이 바뀌는 의존성도 줄여 안정적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섬유 디스플레이에서도 흰색 OLED가 구현되면서 패션이나 기능성 의류, 차량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도 한층 적용이 쉬워질 것으로 ... ...
[산업게시판]실내에서도 발전 가능한 태양광 패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있고, 하루 최대 효율 구현 시간이 기존 3시간 30분에서 6시간 이상으로 개선됐다. 또 측면
발광
이 가능한 광섬유를 적용해 실내환경에서도 발전할 수 있어서 열·먼지·습기 등에 약한 유기물의 안정성이 향상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KT는 18일부터 오는 6월까지 네트워크 지능화를 위한 ... ...
[산업게시판] 무인이동체 인재양성 컨소시엄에 2028년까지 300억 원 투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달러(16조1964억 원)로 11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으며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휴대폰,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 ...
버려진 쌀겨로 친환경 퀀텀닷 LED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사이의 색을 내는 것이 확인됐다. 파장으로는 680㎚ 대역이다.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발광
효율은 21%로 높은 수준이었다. 연구팀은 개발한 실리콘 퀀텀닷으로 LED 조명을 만들었다. 바닥에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로 만든 매우 얇은 층을 깔았다. 인듐 주석 산화물은 매우 얇을 때 전기가 통하는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