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진짜 모습이라고 보기엔 아직 제약이 많다”라며 “온전한 두개골 화석이나 많은
DNA
가 발견돼야 데니소바인의 진짜 얼굴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현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에서는 데니소바인 화석 찾기 프로젝트인 ‘파인더(FINDER)’를 진행하고 있다. 첨단 연구방법을 동원해 ... ...
신속PCR 쟁점 3가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가닥을 분리하는 과정이 있는 PCR보다 낮은 온도에서 프라이머와
DNA
중합효소가 결합해
DNA
를 증폭하는 LAMP는 반응이 시작될 확률이 더 낮다. 박건수 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 바이러스 감염 대응) 융합연구단 연구원은 “LAMP는 기존 PCR 진단과 특이도가 비슷한 수준이지만 민감도는 조금 떨어지는 ... ...
[한페이지 뉴스]박쥐 수명과 나이의 비밀 후성유전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생물학과 교수는 “박쥐는 늙어도 청력이 쇠퇴하지 않는다”며 “청각과 관련있는
DNA
메틸화도 추가로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12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467-021-21900-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대해 더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지요. “기술이 발달하면서 식물을 세포나
DNA
등 분자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식물 분류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더 다양한 종으로 나뉘거나, 분류군이 바뀌기도 했어요. 우리가 식물에 대해 더 관심을 갖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 ...
변이 vs. 백신 재설계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mRNA 백신과 바이러스 벡터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이 어느 정도 증명된 만큼 mRNA나 c
DNA
등 핵산만 새로이 합성하면 백신 재설계가 가능하다.송대섭 고려대 약학과 교수는 “핵산을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자체를 다루지 않고 필요한 염기서열을 합성하는 만큼 빠르고 안전하게 재설계가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던 분야가 있나요? 장환 : 생명공학이요. 눈에 보이지도 않는
DNA
에서 정보를 찾아내는 게 신기하고, 신약을 개발해서 사회적으로 공헌도 많이 하시는 것 같고요. 과동 : 마지막으로 이장환 연구원님의 인생에서 과학이란 무엇인가요? 장환 : 친구요. 주변에 항상 ... ...
[만화뉴스] 쌍둥이? 사실은 살짝 달라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00개의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죠. 연구팀은 이런 차이가 세포 내에서
DNA
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 때문에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방출합니다. 말하자면 새집증후군인 셈이죠. 이런 방출선들은 탄소 기반 생화학 반응(
DNA
합성 등)에 필요한 분자의 변질과 분해를 유발할 수 있어 생명체의 탄생 및 진화가 어렵습니다(우주적으로 봤을 때 지구는 굉장히 특별한 케이스입니다).M형 주계열성의 경우 별이 어둡고 차가워서 생명체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연구팀은
DNA
조각으로 만든 나노봇으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DNA
나노봇은
DNA
효소 디옥시리보자임으로 만들어졌으며 탐지와 치료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세포 안에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RNA를 감지하고 특정 조건에서 RNA 결합을 끊는다. doi: 10.1002/chem.201905528나노봇은 점성이 있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NGS)을 활용하면 세포의 종류, 발생학적 시기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추출한
DNA
와 mRNA, 단백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김 교수는 “멀티오믹스를 활용하면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라 각 기관과 조직별로 정확한 유전체 지도와 단백체 지도를 만들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혀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