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2 노벨생리의학상 I 인류 진화의 비밀 밝힐 타임머신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디아미네이션’이 발생한다. 페보 소장은 오래된 DNA일수록 이 시토신 디아미네이션이 DNA 양쪽 끝에 많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이후 페보 소장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체 해독에도 성공했다. 2006년 핵유전체 일부 해독, 2008년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완전 해독, 2010년 유전체 초안 해독 등 엄청난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과거에는 미토콘드리아 구조만 알 수 있었는데, 이제는 세포 내 물질이 움직이는 것부터 DNA가 세포분열 전에 뭉치는 과정까지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10년 뒤에도 연구자가 현미경 보고 있을까요?” 토모큐브 현미경은 출시 초기 미국 하버드의대, MIT 등 교육기관에서 실험적으로 ...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감지하는 수용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런 단백질을 만들 때 설계도 역할을 하는 DNA 서열이 바로 ‘유전자’다. 비암호화 영역은 유전체에서 유전자를 뺀 나머지 부분이다.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지 않다는 뜻에서 비암호화 영역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단백질을 만들어낼 때 설계도처럼 쓰이진 ...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과학동아 l2022년 09호
- DNA가 설계도 원본이라면 RNA는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복사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NA를 그대로 복사한 RNA에는 단백질의 정보가 암호처럼 저장돼 있습니다. 이를 ‘암호화’라고 합니다. 이 암호를 풀어 단백질을 만듭니다.비암호화 RNA는 암호화되지 않은 RNA입니다.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대신 세포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광통신 원리, 초발수 현상(연잎효과), 농도에 따른 반응속도(아이오딘 시계 반응), 람다 DNA를 이용한 제한 효소 탐구 및 전기영동, 멸치 해부, 편광현미경을 이용한 암석 관찰을 함 ... ...
- [가상인터뷰] 박테리아씨, 제 눈에 당신이 보여요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제 DNA는 페핀 안에 압축돼 있답니다. 그래서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죠. 이런 DNA 구획화는 복잡한 유기체만의 특징이라 절 연구한 분들은 “혁신적으로 진화했다”고 칭찬하셨어요! 거기다가 이 세포 구획마다 단백질이 생성돼 제가 이만큼 클 수 있었어요.이름도 길어요. 무슨 뜻이에요 ... ...
- [이달의 과학사]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4호기, 폭발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방사성 물질이 바깥으로 퍼져 나왔습니다. 방사성 물질이 뿜어내는 방사선은 세포 내의 DNA를 파괴하여 암을 일으키거나 생물체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원자폭탄 몇백 개 분량의 위험한 방사성 물질이 바람을 타고 발전소와 가까운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 지역은 물론 전 ... ...
- [커리어] 교수님과 선배가 들려주는 바이오메디컬공학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바이오마커로 삼은 경우”라며 “암 진단에도 단백질 마커를 많이 사용하며, 최근에는 DNA마커를 활용하기도 한다”고 답했다. “막상 입학해보니”바이오메디컬공학 관련 학과에 진학한 선배의 이야기도 들어볼 수 있었다. 이 씨는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을 위해 연구하는 꿈을 가지고 ... ...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숭이 아닌 인간이 주범?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람바우트 교수는 “바이러스로부터 사람 몸을 방어하는 효소 ‘APOBEC3’가 바이러스 DNA에 돌연변이를 유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바이러스가 몸속 면역 체계와 반응하는 과정에서 변이가 발생했다는 의미다. 그는 “현재 유행하는 바이러스는 동물과 직접 접촉해 발생한 감염이 아닌, 2017년부터 ... ...
- [핫이슈] 가장 정확한 인간 게놈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사이언스’ 4월 1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l3533 인간 게놈은 약 30억 쌍의 DNA 염기로 이뤄져 있으며, 인간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다. 이를 해독하면 인간 유전자의 종류와 기능을 밝히고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와 변이를 파악할 수 있다. 각종 유전적 질병의 원인을 밝혀 치료 및 신약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