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와 밥상을 오염시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높게 나타나요. 세포가 분열하며 성장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성장기에 방사선에 노출되면 DNA가 잘못 복제되는 등 문제가 크게 나타날 수 있어요. 모두가 여러 위험성에 대해 조심하고, 함께 점검하기를 바라는 마음이에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기존의 환경에 새롭게 침입한 생물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연구에 사용돼요. 환경 DNA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연구자가 생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생물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 ...
- [만화 뉴스] 수수께끼는 풀렸다! 증거는 공기 중에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지난 3월 31일, 영국 퀸메리대학교 엘리자베스 클레어 교수팀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환경 DNA●를 채집해서 어떤 동물의 DNA인지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벌거숭이 ... 직접 채취한 것이 아닌 물이나 토양, 공기 등에서 간접적으로 채취한 유전 물질. eDNA라고도 한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교차연결(DPC)’이 식물에서도 노화를 조절할 가능성을 찾고 있다. 우 교수는 “DPC는 DNA의 전사와 복제 등을 방해하는 기전으로 이미 동물과 균류에서 질병, 수명과 연관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식물에서도 분명 노화에 어떠한 형태로라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식물이 받는 ... ...
- [JOB터뷰] 프로파일러, 배우로 2막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실제 범행시간에 현장을 재방문해 특이점을 찾기도 하고요. 용의자가 생기면 지문 감식, DNA 검사 등을 하는 과학수사대, 수사를 진행하는 형사들과 모여 범인일 가능성에 대해 회의해요. 이때 형사가 심문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이들을 대할 심리 전략을 세우기도 하고요. 범죄자들은 사건에 대해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1.05.010‘식스코프(Seq-scope)’라고 불리는 이 기술은 DNA를 구성하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사이토신(C)이 만드는 패턴을 마치 바코드처럼 인식해 공간지도를 작성한다. 그리고 조직 샘플 내 발현되는 모든 유전자와 여기에서 전사된 mRNA를 증폭시켜 ...
- [한페이지 뉴스] 약물 전달한 뒤 사르르 녹는 얼음 미세침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확인했다. 쉬 첸지 홍콩시립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는 “이 미세침은 단백질, 펩티드, DNA, 백신과 같은 다른 종류의 생물 활성 약물을 전달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551-021-00720- ...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있습니다. 단일 세포 이미징도 물리와 화학, 공학이 접목돼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DNA와 단백질 분자의 물리적 움직임에 의해 화학 반응이 조절되고, 이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죠. 어쩌면 4D 뉴클레옴 분야의 최종 종착지는 다양한 과학 분야를 관통하는 교차점에 존재하는지도 ... ...
- [특집] 식물, 이젠 피부에 양보하세요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뤄졌는지 민간기관이 확인해 인증하는 제도다. 서류심사와 완제품 대상 동물성 DNA 검사 등을 거친다. 대표적인 비건 인증 기관으로는 비건 개념을 처음 만든 영국의 비건 소사이어티, 프랑스의 이브 비건 인증, 북미의 리핑 버니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비건인증원이 식약처의 인증·보증을 ...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둘러싼 의문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2001년 이후 추가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고, DNA도 추출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여기에 두개골의 크기와 형태가 유인원에 가깝다는 점,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호미닌이 주로 발견된 동부아프리카가 아닌 중앙아프리카에서 발견됐다는 점 등에 의문을 가지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