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하구, 산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5호
산화수은을 태우자 어떤 기체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어요. 또 꺼져가던 촛불을 이 기체
주변
에 가져가자, 촛불이 다시 타오르는 것도 관찰했지요. 다만 프리스틀리는 이 기체를 새로운 원소로 인식하지 못하고 프랑스의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에게 이야기했어요. 라부아지에는 불에 타는 것은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공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비가 내려 찻잔버섯에 빗방울이 떨어지면, 소피자는 반동으로 인해 최대 1.2m까지
주변
으로 튕겨 나갑니다. 튕겨 나간 소피자는 끈적하고 긴 끈과 함께 날아가는데, 근처에 있는 식물이나 나뭇가지에 끈을 휘감으며 안착하지요. 나뭇가지와 같은 먹이에 안착한 소피자는 나무와 공생하며 다음 세대를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 여름이 다가오면 모기가 하나둘 활동을 시작합니다. 아파트가 몰려 있는 주택가
주변
웅덩이에선 모기의 알을 흔히 볼 수 있어요. 알의 주인은 바로 빨간집모기! 암컷 빨간집모기가 한 번에 낳는 알은 대략 200여 개입니다. 장구벌레와 모기의 얼굴까지 초고속 카메라로 생생하게 영상에 ... ...
[DAY1 홍콩 이공대학교] 우주선의 눈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임무를 잘 수행하려면 카메라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카메라는 탐사선의 눈이 되어
주변
환경을 탐색해요. 홍콩 이공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카이릉 융 교수팀은 창어 4호의 카메라포인팅시스템(CPS)을 개발했습니다. 이 카메라의 겉에는 방사선을 반사하는 얇은 보호막이 씌워져 있습니다. 덕분에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구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현상으로, 구름 안이나 구름과 다른 구름 사이, 구름에서
주변
대기나 지면으로 이동하며 번쩍거리는 빛이에요. 이 가운데 구름에서 땅으로 떨어지는 번개를 벼락이라고 부릅니다. 벼락이 칠 때 섬광이 보이는 곳에서는 공기의 온도가 약 2만 7000℃에 이를 만큼 강한 열이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선풍기 튜브 쪽은 공기의 빠른 속력으로 압력이 낮아진 상태예요. 반면 선풍기 고리 뒤쪽
주변
공기는 상대적으로 느리고 압력이 높아요. 공기는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선풍기 튜브 안쪽으로 바람이 흐릅니다. 그 결과 우리는 날개 없이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답니다. 용어 ... ...
[DAY2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바람을 가르고 바람보다 빠르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빨라지면 프로펠러
주변
의 압력은 낮아져요. 압력이 점점 낮아지다 보면 프로펠러
주변
의 물이 수증기로 바뀌며 공기 방울이 생깁니다. 이렇게 프로펠러 주위에 생긴 공기 방울은 프로펠러와 부딪히며 큰 소음을 일으켜요. 이 같은 현상을 ‘공동현상’이라고 합니다.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활동을 소개하러 다녀왔어요. 학술 대회에서는 시민과학 강연뿐만 아니라,
주변
소노란사막을 탐사할 기회가 있었는데요. 소노란사막은 멕시코 북서부에서 미국 남서부까지 이어진 한반도보다 넓은 사막입니다.사막거북과 선인장 등 소노란사막에 사는 생물들을 소개할게요! 미국에서 가장 큰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장애물을 넘어가며 전진! 보행로봇 로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있어 인터넷을 통해 앞으로 갈 경로의 교통 신호나 도로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변
에 카페나 가게가 어디에 있는지도 알 수 있죠. 테피는 단순히 길을 안내하는 데 그치지 않아요. 인공지능을 사용해 사람들과 소리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음성 명령을 통해 실제 개처럼 그 자리에 앉거나 ... ...
[기획] 벌레들의 대량발생 방제보단 공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돕는 소중한 생물이에요. 신승관 교수는 “벌레라고 해서 모두 해충인 것은 아니며, 우리
주변
의 식물과 먹이사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우리가 가야 할 길은 결국 곤충들과 공존하는 방향일 것”이라고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