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변"(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임무를 다한 위성 ‘아이올로스’, 지구 송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아이올로스는 2018년 8월 22일 발사된 후, 고도 320km에서 지구 주변을 돌며 지구의 대기 흐름을 측정해 왔습니다. 지난 4월 30일 임무를 마친 아이올로스는 연료가 거의 바닥나며 고도가 떨어져 지구를 향해 점점 내려오고 있었지요. ESA는 아이올로스의 고도와 위치를 조정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알맹이도 껍데기도 버릴 게 없다! 달걀 껍데기 분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달걀을 사용한 음식을 잔뜩 만들었어요. 요리를 마친 후 주방을 정리하려는데, 주변에 널브러진 달걀 껍데기가 보였죠. 이를 보고선 섭섭박사님 머릿속에 실험 아이디어가 떠올랐나 봐요. 달걀 껍데기로 무얼 만들 수 있죠? 왜 이런 일이? ➔ 결과 : 달걀 껍데기 분필 완성! 분필은 석회석이나 ... ...
- [우주탐험대] 알파 센타우리 /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있는 행성은 슈퍼 지구라고 불려요. *용어정리항성계: 여러 항성이 서로의 힘에 이끌려 주변을 일정하게 맴도는 것을 말해요.항성: 아주 뜨거운 기체 물질 ‘플라즈마’가 똘똘 뭉쳐 이루어진 천체예요 ... ...
- [특집] 상대성 이론 시간 여행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천체 주변의 시공간은 볼링공이 놓인 물침대처럼 가운데가 푹 가라앉아요. 강한 중력이 주변 시공간을 가운데로 휘게 하는 거죠. 이에 따라 중력이 강한 곳의 시간은 약한 곳에 비해 느려집니다. 이는 아인슈타인이 1915년 발표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내용이지요. 상대성 이론은 실험을 통해 ... ...
- [사막생물탐구생활] 사막의 키다리, 사와로 선인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어려워요. 사와로는 큰 키와 커다란 덩치 덕분에 많은 양의 수분을 머금을 수 있고, 주변의 새들에게 안정적인 보금자리를 제공합니다. 우리나라의 딱따구리가 나무에 구멍을 뚫고 둥지를 만드는 것처럼, 소노란사막에서도 딱따구리가 사와로에 둥지를 만듭니다. 제가 관찰한 어떤 사와로에는 여러 ... ...
- [질문하면 답해ZOOM]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한다고 눈이 튀어나오지 않는다”고 밝혔어요. 재채기할 때 콧속에서 발생한 압력은 눈 주변 근육이 아닌 얼굴에 있는 혈관에 전달됩니다. 이 혈관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 혈관이 터져 눈 근처에 멍이 생길 수 있지만, 이 압력이 안구에 직접적인 힘을 가하지는 않는다는 설명이죠. Q. ‘개구리 알’ ... ...
- [숫자로 보는 뉴스] 봄이 18.25일이나 먼저 왔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북쪽 땅을 뜻해요.인공위성: 우주로 쏘아 올린 기계로, 행성의 주위를 돌면서 지구 주변 환경을 관찰하고 우주 과학 실험을 해요.명금류: 참새목에 속하는 새들이에요. 지구상의 새 중에서 절반 정도를 차지해요 ... ...
- [특집] 웜홀, 상대성 이론이 남긴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존 휠러는 이런 천체를 ‘블랙홀’이라고 이름 지었죠. 아인슈타인은 무거운 천체 주변의 시공간을 계산해 봤어요. 그 결과, 특이점을 넘어 끝에 도달하면 시공간이 완전히 왜곡되어 시간과 공간의 구분이 불가능할 거라고 예측했어요. 이어 블랙홀의 끝에 도달하면 다른 우주 시공간으로 통하는 ... ...
- [특집] 초기 우주, 시간이 느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만들어지는 거대 천체예요. 블랙홀로 주변 물질이 빨려 들어가면서 서로 마찰해, 블랙홀 주변에 빛이 방출돼요. 퀘이사의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10억 배나 되는 무거운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어 엄청난 빛이 나옵니다. 퀘이사는 강력한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수십억 광년 떨어진 아주 먼 거리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하구, 산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산화수은을 태우자 어떤 기체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어요. 또 꺼져가던 촛불을 이 기체 주변에 가져가자, 촛불이 다시 타오르는 것도 관찰했지요. 다만 프리스틀리는 이 기체를 새로운 원소로 인식하지 못하고 프랑스의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에게 이야기했어요. 라부아지에는 불에 타는 것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