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의"(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2] 이게 머선129! 내가 말한 단어가 수학이라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얼마나 짧은 시간인지 아세요?” ‘순식’은 불교에서 영향을 받아 사용하게 된 수의 단위예요. 10과 거듭제곱*을 이용하면 아주 큰 수와 아주 작은 수를 표현할 수 있는데요, 10을 거듭해서 곱하면 아주 큰 수를, 1/10을 거듭해서 곱하면 아주 작은 수를 만들 수 있어요. 순식은 (1/10)16만큼 작은 수예요 ... ...
-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모양보다는 위치와 구멍의 개수로 분류하는 ‘위상수학’에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면 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정수론 문제에 유용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 그리고 더스틴 클라우센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수학과 교수님과 함께 이런 내용을 연구하는 새로운 수학 분야를 만들고 ... ...
- [이달의 식물사연] 꽃으로 즐기는 불꽃놀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어떻게 하면 각각의 식물이 가진 매력을 극대화할까 고민을 많이 하는데, 연화수의 경우 이처럼 활용성이 매우 높다. 연화수를 하나의 중심 줄기로 키우면서 윗부분에 풍성한 가지가 둥근 수형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하면 꽃이 마치 거대한 마술봉처럼 피어나게 만들 수 있다. 늦겨울과 이른 봄 사이 ... ...
- [수학뉴스] 우주의 정보량을 알기 위한 수학자의 도전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전체 입자 수는 4 × 1080개예요. 마지막으로 입자 1개 당 정보량과 우주의 전체 입자 수의 곱인 1.509 × (4×1080)을 계산하면 돼요. 이 방법으로 우주 전체 입자의 정보량이 약6 × 1080비트라고 예측했어요. 봅슨 교수는 “이 값이 정확한 우주 전체의 정보량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50년 동안 많은 수학자, ... ...
- [특집] 꼭꼭 숨어라~ 규칙 다 보인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방법을 쓰면 돼요. 윤년이 끼어있으면 1년을 366일로 계산해야 하지요. 달력에는 수의 규칙이 가득해서 유명한 수학자들도 달력에 관한 수학 문제나 공식을 만들곤 했어요. 요즘에는 달력을 이용한 보드게임도 즐길 수 있지요. 달력이랑 놀다 보면 수학과도 친해질 수 있답니다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걸 알 수 있어요. 규칙을 통해 12달 후 토끼 쌍의 수를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이러한 수의 규칙은 오늘날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어요. 피보나치 수열은 꽃잎의 수, 솔방울 씨앗의 배열, 해바라기 씨앗의 배열, 앵무조개 껍질 등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이에요. 토끼의 ... ...
- [폴리매스 미궁] 알에서 발견된 소녀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두 개를 동시에 던져서 나온 눈의 수가 홀수와 홀수 또는 짝수와 짝수이면 두 눈의 수의 곱을 구하고, 홀수와 짝수이면 두 눈의 합을 구한다. 주사위 두개를 동시에 던지는 활동을 세 번할 때,구한 세 값의 합이 30이 되는 서로 다른 경우는 몇 가지인가? 이 때 주사위 두 개를 던져서 나온 눈의 수가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오직 바로 직전의 상태에 의존한다는 가정 아래 미래를 예측하는 원리입니다. ‘대수의 법칙’을 적용해 과거의 데이터로 확률을 구한 뒤, 결과를 예측하는 모형으로 쓰입니다. 이때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전이’라고 부르며, 상태 전이를 나타낸 그림을 ‘상태 전이도’라고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따분한 수학은 가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연구도 열정적으로 하셨지요? A. 열심히 놀면서도 다양한 수학 분야를 연구했지요, 하하. 수의 성질을 알아보는 ‘정수론’, 경우의 수를 따져 전략을 세우는 ‘게임 이론’ 등을 연구했어요. 많은 사람과 게임을 하면서 수학을 즐긴 덕분에 연구에 도움이 되는 좋은 아이디어도 많이 얻을 수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떨어지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지만,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많은 수의 밝은 유성이 떨어져서 관측하기 쉽답니다.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년을 마무리하는 12월에 볼 수 있어요. 올해에는 12월 14일에 가장 잘 관측된다고 하니 꼭 관찰해 보세요! 자, 그럼 여기서 퀴즈! 12월에 볼 수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