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의"(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2 노벨 물리학상 I 벨 부등식 위배 입증 양자역학 논쟁을 끝내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현재는 광자뿐 아니라 다양한 물리계들을 이용해 더 많은 수의 큐비트를 얽히게 한 뒤 이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양자정보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지는 아직 모른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이 변혁을 지켜보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9. 꼼꼼히 읽으면 답이 보인다!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수학동아 l2022년 10호
- (14, 16), (15, 15), (16, 14)로 총 3가지, 두 수의 합이 31인 사건은 (15, 16), (16, 15)로 총 2가지, 두 수의 합이 32인 사건은 (16, 16)로 1가지뿐이에요. STEP 3 |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으로 계산하기 ① 각 사건의 경우의 수를 곱하면가지예요. ② 각 사건의 경우의 수를 합하면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선생님께 감사한 마음, ‘약수와 배수’로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에요. 수콤, 달콤이 선생님께 감사한 마음을 전하기 위해 직접 카네이션과 카드를 만들고 있어요. 스승의 ... 8, 4를 3배한 수는 12가 되지요. 이때 4의 몇 곱절이 되는 수인를 4의 배수라고 해요. 어떤 수의 배수는 셀 수 없이 많답니다 ... ...
- [수학체험실]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정리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2년 10호
- 8조각이 아닐 때는 어떨까? 2012년 미국 수학자 그렉 프레드릭슨은 12조각, 16조각 등 4배수의 조각에 대해서도 면적이 같은 두 영역으로 나눌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 문제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마치 피자를 조각낸 것 같아서, n개의 조각으로 일반화한 문제를 피자 정리라 한다. 만약 두 사람이 ... ...
- [특집] 펠의 방정식을 전격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연구했던 ‘연분수’를 이용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어요. 연분수는 분모가 정수와 분수의 합으로 연달아 표기되는 분수로 무리수에 최대한 가까운 유리수 근삿값을 구할 때도 쓰여요. 이탈리아 태생의 프랑스 수학자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는 차크라발라법이 펠의 방정식의 해법이라는 것을 ... ...
-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위잉~! 위잉~!”봄을 맞아 요란한 소리를 내며 날아 다녀야할 벌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초 전국 양봉 농가에서 키우던 벌 약 83억 마리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도대체 벌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벌을 찾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
- [특집] 모기 퇴치 수학 작전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걸렸어요. 요리조리 도망 다니는 모스큘라를 잡으려면 살충제보다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모기를 한꺼번에 없애는 작전이 필요해요. 수학을 활용한 두 개의 작전을 펼쳐 봅시다 ... ...
- [몬스터를 잡아라!] 방어와 공격을 한 번에! 뺄셈·5 변신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하나를 칠해요. 다음 참가자는 그 수와의 차가 5가 되는 수를 칠하고 이어서 자신이 칠한 수의 양 옆, 위 아래에 있는 수 중 하나를 칠해요. 더이상 게임판 위의 수를 칠하지 못하는 참가자가 져요. 아래 게임판으로 직접 게임을 해 보세요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같음을 증명했습니다. 이것이 허 교수의 혁명적인 아이디어입니다. 그러면 그 교차수의 호지-리만 관계가 로그-오목임이 밝혀집니다. 허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영다양체를 거치지 않고도 특성 다항식의 계수들이 로그-오목이 됨을 증명했습니다. ...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그래프의 채색 문제를 다루는 허준이 교수님의 연구부터 고차원에서의 공 쌓기 문제를 푼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님의 연구까지! 다음 활동을 통해 2022 필즈상 수상자 네 분 ...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했어요. 우리는 3차원 공간에서 과일을 쌓아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연구를 엿봅시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