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의"(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범인의 키를 구해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의한 면과 맞닿아서 직각(90°)을 이루는 상태를 말해요.비 :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사용해요. 기호 ‘ : ’을 사용해서 (비교하는 양) :(기준이 되는 양)으로 나타내지요 ... ...
- [기획] 수사일지 4일 법의학으로 학대 정황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동물에게는 유해한 물질도 검출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도 있어야겠고요. 지방정부에서도 수의법의학센터를 설치할 필요성을 느끼고 절차를 준비하고 있어요. 최근에 당선된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관련 공약을 냈거든요. Q가장 보람찼던 순간은 언제인가요?부검을 의뢰받은 사체가 너무 오래되어 ... ...
- [기획] 고양이 탐정 사하라의 동물학대 수사 일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나는 고양이 탐정 사하라. 최근 온라인에서 동물학대 범죄가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냥. 피해 동물은 대부분 길고양이라는데…. 약한 동물을 괴롭히는 저열한 범죄의 향기가 느껴진다냥. 내가 활약할 시간이다냥! 고양이 탐정 사하라의 사건 수사 일지를 공개한다냥! ▼이어지는 기사를 ...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과학동아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올여름부터 5년 뒤의 미래를 엿보는 야심찬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 라이덴대의 최신 데이터 ... 클라우드 관련 국제 협력 연구를 진행 중이다. 미국 전기전자공학자 협회인 IEEE에서 다수의 저널 에디터로도 일하고 있다. jssong@sejong.ac ... ...
- [특집] 네모난 브릭으로 원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하나, 즉 이에요. 2×4 브릭보다 작은 브릭을 모아 2×4 브릭과 같은 모양을 만드는 것은 분수의 덧셈과 같아요. 1×2 브릭 4개를 모으거나, 2×2 브릭 2개를 모으면 되지요. 또한 1×2 브릭 2개와 2×2 브릭 1개를 붙여도 돼요. 각 조각을 분수로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지 알면 작은 브릭 여러 개를 모아 큰 ... ...
- [기획] 카마이클 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가설’이 카마이클 수에도 적용될 거라고 추측했어요. 2016년 메이나드 교수는 소수의 분포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라슨 학생은 여기에 나온 방법을 활용해 자연수 X가 충분히 클 때 X와 2X 사이에 카마이클 수가 항상 존재하며, 최소 몇 개가 있는지 알 수 있는 수식을 알아냈어요. 메이나드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회로 정복하기 2. 신박한 정리 기계 아이템 자동 분류기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신호 2를 출력합니다. 구조를 알았으니 기계의 알고리듬을 순서도로 살펴볼게요. 수의 계산이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처리 과정을 알고리듬이라 하는데 이 알고리듬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그린 그림을 ‘순서도’라고 해요. 주로 컴퓨터가 연산을 처리하는 과정을 표현하지요. 먼저 호퍼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저글러들이 가장 많이 하는 방법이에요. 이처럼 수학자는 공이 떠 있는 시간을 수의 나열인 ‘수열’로 나타냈어요. 51법칙 외에도 공 3개를 3초씩 던지는 333법칙, 4413법칙, 21법칙 등이 있지요. 여러분도 직접 공을 던지고 받으며 저글링에 시도해 보세요. 물체 3개를 돌리는 것에 성공했다면 4개 ...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우리나라, 일본, 중국의 전통 가옥 문에는 뼈대가 되는 나무틀인 ‘문살’이 있다. 이 문살을 이용하면 구구단 없이도 곱셈을 할 수 있다. 문살에 숨어있는 곱셈의 원리를 ... 200이 되는 것이다. 문살 곱셈은 교차점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점을 세기 어려워 두 자릿수의 곱셈에 적합하다 ... ...
- [핫이슈] 중학교 선생님, 자연수 세제곱 합 공식의 말이 필요 없는 증명 발견했다고?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아래와 같습니다. 각 공식은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자연수의 합 공식(①)을 제곱하면 자연수 세제곱의 합 공식(③)이 나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성진 선생님은 우연히 유튜브에서 이와 관련한 영상을 보게 됐고, 그동안 ‘왜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을까’하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