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닷물"(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번성한 고세균*의 일종인 ‘호염성 고세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어요. 호염성 고세균은 바닷물보다 10배나 짠물에서 살며, 세포막에 ‘레티날’이라는 색소를 가지고 있어요. 레티날은 초록빛을 흡수하여 보라색으로 보이게 만들죠.실라디티야 다사르마 교수는 지구가 만들어진 초기, 레티날 ... ...
- 독도 바다가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조금씩 다르지만 산업화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고, 기후 변화에 따라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바다 사막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는 경우가 많아요. 엽상 해조류에 비해 석회조류는 따뜻한 바다(아열대, 열대)에 더 잘 살아남거든요. 지구 온난화로 해수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 ...
- [Go!Go!고고학자] 쓰레기장에서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규조류와 미소권패류예요. 먼저 규조류는 물속에 서식하는 아주 작은 생물인데, 민물, 바닷물, 그 경계에 사는 종이 다 달라요. 만약 패총에서 바다에 사는 규조류를 찾았다면, 이곳이 고대에는 바다였다고 추측할 수 있죠.미소권패류는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조개예요. 크기가 겨우 몇mm라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산성화 · 카이퍼 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단단한 껍데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탄산칼슘(CaCO3)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방해해요. 결국, 바닷물의 산성화는 산호, 조개, 새우 같은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답니다. 카이퍼 벨트(Kuiper Belt)태양계의 끝은 어딜까요? 태양을 중심으로 가장 바깥을 도는 행성인 해왕성의 궤도가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체 하중, 즉 얼음판의 최대 부력이 나온다. 얼음판의 최대 부력은 얼음판의 부피에 바닷물의 비중을 곱한 값과 같은데, 이렇게 계산하면 얼음의 두께 W′는 2281cm, 즉 22.81m라는 결과가 나온다. 엘사보다는 얇은 편이지만 그래도 어마어마한 두께가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쿠잔은 1초에 약 6.63×10의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20년 동안 작성한 보고서 등을 분석한 결과지요. 연구에 참여한 에릭 테릴 박사는 “바닷물의 온도에 따라 깊은 바다의 산호초 생태계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할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 다윈의 역설, 답은 작은 물고기에게 있었다 ... ...
- [과학뉴스] 바닷속에서도 착! 하이드로겔 접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띠는 물질과 방향족 고리로 구성된 고분자 사슬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사슬이 바닷물과 이온 농도가 같은 0.7M(몰) 소금물에서 하이드로겔(친수성 고분자 네트워크)을 형성하며 접착력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물질은 소금물에서 음전하를 띠는 고체 표면에 60kPa(킬로파스칼)의 강도로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소중한 시간이었다.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다. 2014년 바닷물 속 나트륨을 활용한 해수전지를 개발했고,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6~2010년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 ...
- [검시관사건노트] 물속에서 떠오른 억울한 죽음 수중시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는 사고자의 부상이나 손상 정도, 질병이나 약물, 음주 같은 신체 상태와 민물이나 바닷물 같은 물의 특성 등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익사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량의 물을 흡입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양쪽 폐의 팽대와 가슴막 삼출액 증가, 폐부종, 출혈 등 조직학적 변화가 생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판테온 신전의 돔도 4535t의 콘크리트로 이뤄져 있지요. 당시 로마인들은 화산재와 석회, 바닷물, 화산암을 섞어 콘크리트를 만들었어요. 2017년 일본 도호쿠대학 히사다 마코도 교수는 화산재가 로마 건축물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비결이라는 연구를 발표했지요. 실험을 통해 시멘트에 화산재를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