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닷물"(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잊혀지지 않는 한 초등학생의 질문이 있습니다. “핵융합 발전의 연료인 중수소를 바닷물에서 계속해서 추출한다면 바다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라는 질문이었는데 신선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한평생 핵융합을 연구해온 사람들도 한 번도 고민해 보지 않았던 주제였죠. 그 질문에 대한 답은 ... ...
- 빙하 감시단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무엇일까요? 스웨이츠 빙하가 있는 서남극 대륙은 해발고도가 해수면보다 낮고, 따뜻한 바닷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돼 얼음 아래를 녹이고 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스웨이츠 빙하에서 현재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빙하 유출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는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 장비로 ...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엔셀라두스 분출구 탐사선’을 제안했어요. 로봇 탐사선이 직접 분출구 틈으로 내려가 바닷물을 채취해서 돌아오는 것이죠. 로봇은 네 팔을 얼음 벽에 꽂아 분출구 밑으로 내려갈 수 있어요. 어쩌면, 분출구에서 지구 밖 생명을 처음으로 만날지도 몰라요! 소행성을 튀어 다니며 중력을 측정한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따라 도는 해류인 ‘남극 환류’가 생겼어요. 남극을 둘러싼 차가운 해류가 따뜻한 바닷물을 차단하면서 남극 기온이 더 떨어지게 된 것이죠. # 에필로그 “그러니까 하얀 여왕이 일부러 판을 뒤엎은 게 아니란 말이죠?”“자, 자, 싸우지들 마시고요. 지진학자들이 붉은 여왕님의 정원 밑으로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위치를 알릴 수 있기 때문이야. 덕분에 나는 각종 센서 장비를 싣고 오랫동안 바닷속에서 바닷물 표본 수집하고, 수중 소리를 녹음하고, 수온도 측정하는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Q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위치를 알릴 수 있다고? A 응! 기존 자율수중로봇들은 GPS 센서로 자신의 위치를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플로스원’에 발표했습니다. 김 교수는 “해양으로 쏟아지는 미세플라스틱은 바닷물의 흐름이 적은 환류대의 중심에 모이는 경향이 있다”며 “인도양(1곳)과 대서양(2곳), 태평양(2곳) 등 대양에 있는 대표적인 환류대 5곳이 기본 조사대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극환류대와 소규모 환류대 ... ...
- [과학뉴스] 회색물범이 박수를 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내고, 혹등고래는 신음 소리와 울부짖는 소리로 노래를 부르지요. 또 지느러미나 꼬리로 바닷물 표면을 세게 쳐서 소리를 만들기도 해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회색물범은 두 지느러미를 이용해 박수를 쳤어요. 사실 이런 움직임은 물의 저항 때문에 물속에서 하기 힘든 동작이랍니다.연구원들은 ... ...
- [호주 산불] 범인이 따로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양의 인도양 다이폴이 발생해 서인도양의 바닷물이 따뜻해지면 주변의 공기가 바닷물의 열기에 가열돼 상승해요. 그러면 대기가 평소보다 두꺼워지고, 이 영향으로 서인도양을 중심으로 대기의 파동이 만들어지죠. 호수에 돌을 던지면 파동이 생겨 호수 전체로 퍼지듯이, 서인도양에서 생긴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등 에너지 소모가 커 몸집을 늘리기가 힘든 반면, 대왕고래는 유영하는 과정에서 바닷물과 함께 다량의 먹이를 섭취하는 방식이어서 에너지 소모가 덜해 몸집을 불리기 쉽다는 것이다. 골드보겐 교수는 “대왕고래는 특유의 사냥방식을 이용해 짧은 시간에 많은 열량을 섭취한다”며 “이런 ... ...
- [과학뉴스] 핀란드 해변을 덮은 몽글몽글한 알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굳어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 밖에도 바람이 부는 방향과 해안선의 위치, 기온, 바닷물의 온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더해져야만 만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해안을 따라 얼음 알이 나타난 진귀한 현상은 처음이 아니에요. 2016년 러시아 나이다 해안과 2015년 미국 시카고 미시간호에서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