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것'만 있으면 더 맛있고 건강한 사과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9
윤기가 있어 품질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농업
미생물
과 박경석 연구관은 “다이펩타이드는 과실의 면역력뿐 아니라 저온 피해나 염해에 대한 내성도 키워준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사과를 비롯한 여러 과채류의 기능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 ...
지구온난화 원인 물질 알던 것하고 '다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대한 해결책 마련에도 도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미생물
생태학과 환경
미생물
학 분야를 다루는 네이처 자매지 ‘ISME J’ 온라인판 14일자에 실렸다 ... ...
대화는 사람만 한다고? 아니 세균도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황인규 교수팀이 촬영한
미생물
군(좌)과 세균(우)의 모습 - 서울대학교 제공 세균은 다양한 생태환경에서 사는 원핵생물이다. 함께 살 수 있는 세균끼리 뭉쳐 다른 경쟁 집단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세력을 확장해나간다. 이 때문에 세균에게는 적과 아군을 구분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 ...
미래 먹거리는 기후, 환경위험에 좌우
동아사이언스
l
2013.11.06
영양 제공을 넘어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이 미래형 식품”이라며 “동물·식물·
미생물
에서 기능성 성분을 채취해 기능성 식품을 개발 붐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령화 뿐만 아니라 유전자에 대한 맞춤형 식품도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하태열 한국식품연구원 ... ...
미생물
'배설물'이 도심 사막화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거미줄 형태로 흙 입자를 붙잡아 지반 강도가 크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미생물
을 활용하기 때문에 시멘트가 섞인 토양보다 식물들이 자라기도 쉬워 개발로 인한 도심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고, 시멘트 사용이 어려운 하천 친수구역과 상수원 인근 공사에도 쓰일 수 있을 것으로 ... ...
대장균으로 휘발유 만든 과학자, 이번에는 ‘페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포도당 1L를 투입하면 100시간가량 지나 페놀 1g을 얻는 수준이다. 이 교수는 “
미생물
에 독성이 있는 화합물도 인공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독성에 강한 대장균 균주를 찾아 특수 발효공정을 거치면 다른 석유화학물질의 인공생산도 가능해 질 것”이라고 ... ...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세계과학학술원 펠로우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생명화학공학상 등 해외에서 유명한 상을 수상했고, 세계최초로 가솔린을 만들 수 있는
미생물
을 만들어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표지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1986년 서울대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한 뒤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화학공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 ...
내 자동차, 휘발유 아닌 대장균으로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거치면 바로 상용화도 가능하다고 한다. 2010년 미국 바이오연료회사 LS9 연구팀이
미생물
을 이용해 디젤의 원료가 되는 긴 탄화수소 사슬의 지방산을 만드는 데 성공했었지만, 가솔린의 원료인 짧은 탄화수소 사슬의 지방산을 만든 건 이 교수팀이 최초다. 연구팀은 개발한 대장균을 배양해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노벨상 수상 연사 4人
동아일보
l
2013.10.21
인정받아 16년 뒤인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로버츠 박사는 1972년 무렵 수많은
미생물
로부터 새로운 ‘제한효소’를 정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제한효소는 유전공학에서 재조합 DNA를 만들 때 사용하는 특수한 효소다. 1980년 무렵에는 세상에 알려진 제한효소의 75% 이상이 그의 ... ...
착한
미생물
키워 항생제 없이 물고기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04
단점은 적용할 수 있는 물고기가 한정돼 있다는 것. 좁은 수조 안에선 물고기가 바뀌면
미생물
생태계도 바뀌기 때문에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연구를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바이오플락 기술로 개발한 어류는 틸라피아와 새우에 불과했다. 그런데 최근 ‘네오엔비즈’라는 국내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