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 술 맛 땡기게 하는 이 성분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8.09
누룩이 만들어 낸다. 고두밥에 누룩과 물을 넣고 3~5일 두면 누룩 속 여러 종류의
미생물
과 프로테아제 같은 효소가 ‘막걸리발효’를 일으켜 유기산과 아미노산을 만든다. 누룩 속 유산균은 쌀의 당분을 유기산으로 발효하고, 누룩 속 효소인 프로테아제는 쌀의 단백질을 글루탐산으로 ... ...
'산업용
미생물
균주' 대량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09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용량 실험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실험 대상인
미생물
의 크기가 작아도 그 내부에는 수천 개 이상의 유전자가 있고, 유전자들끼리 복잡한 대사회로로 연결돼 있어 단시간에 확인하기 불가능했다는 말이다. 이에 연구진은 대장균의 조절RNA를 활용해 특정 ... ...
설국열차의 폐쇄생태계…알고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8.07
조작 실험을 하기는 어렵기 때문. 1968년 미국 워싱턴주립대 생물학자 클레어 폴섬이
미생물
을 플라스크에 넣어 완벽히 밀봉해 소형 폐쇄생태계를 만든 게 대표적이다. 폐쇄생태계는 우주개발용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지구가 아닌 행성에서 사람들이 살기 위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이런 전략에 30억 년 역사를 갖는 박테리아가 항복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인체는
미생물
들이 거주하는 생태계라는 관점이 오히려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는 출발이 아닐까. 여우가 사라지고 토끼가 들끓어 황폐해진 숲을 회복시키겠다고 토끼사냥에 나서느니 여우를 들여와 알아서 생태계 균형을 ... ...
손상 모발 '지킴이' 갯지렁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경험이 있다면 갯지렁이 컨디셔너에 주목해 보는 것은 어떨까.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와
미생물
공학과 공동연구팀은 모발에 필요한 성분을 공급해 상한 머릿결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특별한 컨디셔너를 개발했다. 갯지렁이는 자신이 위험에 처하면 몸을 분해하는 '프로테아제'라는 효소를 ... ...
헉, 휴대전화에 소변을…
과학동아
l
2013.07.25
소변으로) 생산한 전기는
미생물
의 활동에서 나온 부산물로 우리가 소변을 많이 볼수록
미생물
이 만드는 전기의 양은 많아진다”며 “소변은 우리가 끝없이 공급할 수 있는 자원”이라고 말했다 ... ...
조선시대 미라와 이집트 미라, 어떻게 다른가
동아일보
l
2013.07.15
몽골 남부 고비 사막에서 발견되는 건조 미라는 수분이 급속도로 말라 시신을 썩게 하는
미생물
조차 살 수 없어 미라가 된다. 냉동 미라는 알프스 산맥이나 페루 등 추운 지역에서 발견된다. 특별전에는 2001년 경기 양주에서 출토된 소년 미라 ‘단웅이’와 2002년 경기 파주 파평 윤씨 묘역에서 세계 ... ...
식중독 원인 1시간내 규명… 식약처 ‘휴대용 키트’ 만든다
동아일보
l
2013.07.15
했다고 14일 밝혔다. 먼저 총 45억 원을 투입해 식중독 관리대상인 16개 종과 변종 위해
미생물
등의 DNA 염기서열 분석을 2015년까지 마칠 예정이다. 그 결과 수집된 식중독균 정보는 정부가 운영하는 균주은행을 통해 통합 관리된다. 이와 함께 식약처는 총 30억 원을 들여 여러 가지 균을 한꺼번에 ... ...
인삼의 효능, 세계독성학회 서울회의서도 확인
동아일보
l
2013.07.08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조영걸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
미생물
학)는 같은 날 치료제 없이 홍삼 섭취만으로도 장기간 생존하고 있는 에이즈 환자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조 교수는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지 않고 20년 넘게 홍삼 분말 캡슐 처방을 받은 환자들을 ... ...
[기자의눈] 학술지 피인용지수 높이겠다고? 학회 덩치부터 키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6.30
봐야 하는 상황에서 통합을 이끌 사람도, 통합을 논할 명분도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미생물
학 등 일부 분야가 통합을 추진하고 있지만 통합까지는 멀기만 하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논문이 어디에 게재됐는지보다 논문의 내용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일리가 있다. 그렇지만 과학자에 대한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