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3년 가장 빛났던 기술은?
과학동아
l
2014.04.29
터널 굴착장비(TBM) 설계·제작 기술 슈퍼 공기청정기능을 지닌 에어컨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오염토양 복원 기술 친환경 폴리염화비닐(PVC)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압송할 수 있는 감수제 원료 고성능 폴리에틸렌 생산 기술 터치센서용 메탈메쉬 필름 기술 고선명 ... ...
위독한 신생아에 박테리아가 특효약?
과학동아
l
2014.04.21
면역체계를 제대로 발달시키지 못했다. 연구팀은 항생제를 투여 받지 않은 쥐의 장속
미생물
을 면역체계가 발달이 안 된 새끼 쥐에게 투여하자 백혈구가 왕성하게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치명적이었던 대장균에 대한 저항력 역시 올라갔다. 정체됐던 면역체계가 아주 빠르게 정상 ... ...
코 안에 종기 잘 생기는 분~ 비누 쓰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4.04.09
비누로 씻으면 깨끗해지는 동시에 비누에는 항균제가 들어있어 세균도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비누 속에 들어있는 항균제가 오히려 코 속 ... 단백질에 황색포도상구균이 잘 붙게 돕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미생물
학분야 학술지인 ‘엠바이오®’ 8일자에 실렸다. ... ...
논문 표절 막을 단 하나의 방법!
과학동아
l
2014.04.09
현 상황을 감안할 때 지극히 당연한 결과라고 입을 모았다. 페릭 팽 미국 워싱턴대
미생물
학과 교수는 “현재 각 저널의 출판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저널 편집자와 저자 간의 성실성, 정직성 등을 전제로 운영된다”며 “그러나 이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해당사자들은 ... ...
제주도 곶자왈에 갔더니 생전 처음 보는
미생물
이…
과학동아
l
2014.04.07
제주도 곶자왈에서 발견한 '베리박터 곶자왈엔시스'. 주름진 표면에 타원형, 길거나 짧은 막대 형태를 가진다. - 생명硏 제공 제주도 화산지형에 숲이 형성 ... 다른 곶자왈에서 발견된 신종
미생물
등록도 준비하는 등 제주 곶자왈에서 다양한
미생물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
농산물 유전체 정보가 궁금하세요?
과학동아
l
2014.04.02
토대로 국립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NABIC) 홈페이지(nabic.rda.go.kr)를 통해 동물이나 식물,
미생물
등의 유전체 정보 제공과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농생명 유전체 바이오 빅데이터 정보시스템’은 유전체 전용 분석 프로그램 8종과 208개의 중앙처리장치(CPU), 400테라바이트(TB)급 대용량 ... ...
이연희 연구소재중앙센터장 ISBER 공로상 수상
과학동아
l
2014.04.01
ISBER)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연구소재은행은 인체유래물·동물·식물·
미생물
·융합물질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수집해 관리하는 기관이다. 연구소재중앙센터는 이들 연구소재은행을 관리하고 세계 연구소재은행과 국제협력관계를 이끌어내는 기관으로 2008년 설립됐다. 이연희 ... ...
내성 걱정없이 슈퍼박테리아 없애는 방법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7
없앨 수 있는 후보물질을 발견했다. 전남대 생명과학기술학부 최흥식 교수와 의과대
미생물
학과 최현일 교수 공동연구팀은 저분자물질 ‘GSK5182’가 대식세포내 철 함량을 조절해 병원균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생제는 세균에 ... ...
본격화되는 ‘생물자원전쟁’ 우리의 준비는…
과학동아
l
2014.03.14
채택되면서 각국은 토종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 확보에 나섰다. 동식물과
미생물
, 유전물질까지 권리로 인정돼 생물자원 제공국과 이용국 사이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10월에 열리는 평창 총회에서 해묵은 갈등이 해소될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 제공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3.12
발견한 뒤 일부의 싹을 틔우는 데 성공했다. - 함안박물관 제공 씨앗은 보통 흙 속의
미생물
에 의해 껍질이 약해지고 그 사이로 물과 공기가 닿으면 속의 ‘배’가 자라 싹을 틔운다. 그런데 이 700년 된 씨앗은 껍질이 매우 단단해서 물이 스며들지 못했고 껍질이 다치지 않는 특별한 환경에 있었던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