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가장 높은 산은?’바로 인도 북동쪽, 네팔과 중국 국경에 솟아 있는 에베레스트산이에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공식 높이는 해발 8848m이지요. 이 높이는 인도의 탐사팀이 1952년부터 3년에 걸쳐 삼각측량법으로 측정한 결과예요. 거리를 알고 있는 두 지점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을 삼각형으로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삼산텍이 됐지만, CEO도 겨우 데려올 정도로 상황은 좋지 않다. 이런 삼산텍에 필요한 건 바로 ‘수학’이다! “1부터 100까지 더하는 계산법을 창의적으로 해결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처럼 스타트업 운영은 문제를 발견하고, 모순을 정의한 뒤 사고를 전환해 해결하는 과정의 연속이다.”김범수 ... ...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않고 준비했던 작품이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 공모전에 덜컥 당선된 겁니다. 그 작품은 바로 우리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진 SF 작품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입니다. 이번 달 ‘나는 과학동아 키즈’ 코너에서는 김초엽 SF작가의 에피소드를 실었습니다. 김 작가의 학창시절과 SF작가가 된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느껴졌다.“KSTAR는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는 실험장치입니다. 바로 저 안에서 1억℃ 플라스마가 만들어지는 거죠.” 끊임없이 진화하는 KSTAR“위-잉, 위-잉”.KSTAR가 위치한 주장치실은 정체 모를 소음으로 가득했다. 1m 옆에서 KSTAR에 대해 설명하는 김 부장의 목소리가 잘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작용한다. 이때 텔로미어 길이를 회복시켜 줄 수 있는 단백질 기구가 동원된다. 바로 상동 재조합이라고 불리는 세포 내 DNA 손상 복구 기전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상적으로 촘촘히 응축된 텔로미어에서는 전사과정에 필요한 단백질이 달라붙지 못해 RNA가 거의 생산되지 않는다. ...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또 사진은 결과물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지만 동영상은 촬영 중 반짝이는 빛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의 소자까지 탐지한다 간이점검카드로 모든 종류의 불법 촬영 카메라를 찾아낼 수는 없습니다. 종합 보안 전문 업체 한국스파이존 이원업 이사는 “은폐를 위해 카메라 위에 검은색 ... ...
- [특집] 따따따! 따~! 따~! 따~! 따따따! 종이접기 꿀팁 알려주세요~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원하는 모양이 나올 때까지 계속 패턴을 수정하는 거죠. 네모아저씨는 종이접기하면 바로 떠오르는 종이학의 크리스 패턴에 그라프팅 기법을 더해 두루미+드래곤인 ‘두루곤’을 만들었습니다. 네모아저씨는 그라프팅 외에도 ‘박스플릿’ 또는 ‘상자 주름’이라 불리는 종이접기 방법을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연 아수라 백작의 염색체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상상하면 실현된다, SF(84p)☞바로가기SF는 과학기술이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상상하고 이야기하는 장르입니다. 하지만 그 이야기가 상상으로 끝나지만은 않습니다. SF 속 과학기술은 현실에 등장했고, 그로 인해 우리 사회는 ...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이동이 제한되며 항공기 등 운송수단의 움직임이 멈춰 유가가 떨어지면서 석유에서 바로 뽑아 만드는 새 플라스틱이 기존보다 저렴해졌다. 새로운 플라스틱을 구매하려는 수요는 늘고, 폐플라스틱을 구매해 재활용하려는 수요는 뚝 떨어졌다. 잘 썩는 플라스틱 만들 수 없을까? 코로나19가 ...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DNA를 절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까. 두 사람이 품은 다음 질문이었다.두 사람은 곧바로 실험을 시작했다.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에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RNA와 DNA를 절단할 수 있는 핵산분해효소 캐스9 단백질을 결합시킨 뒤, 절단하고자 하는 인간 DNA에 결합하도록 만든 것이다. 결과는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