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자들은 연구현장에서 물러나고 새로운 세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들이 바로 현재 청소년들이죠. 지금까지 선배 연구자들이 이뤄낸 성과를 바탕으로,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는 똑똑하고 창의적인 미래 세대의 연구자들이 완성해 나가주길 바랍니다.지금도 잊혀지지 않는 한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비교해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우리가 먼저 명확하게 정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우주를 구분하는 경계를 어디까지로 볼 것인가입니다. 빅뱅(Big bang) 우주론에 따르면 약 138억 년 전 탄생한 우주는 현재 기술력으로 ‘볼 수 있는 우주’와 ‘볼 수 없는 우주’로로 나뉩니다. 현재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석사, 박사과정을 쉬지 않고 졸업하고,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6개월간 근무한 뒤 바로 DGIST에 부임했다. 이렇게 쉴 새 없이 달려온 이유가 뭘까. 그는 “자율주행 기술은 그 어떤 분야보다 ‘속도전’이라 머뭇거릴 틈이 없다”고 답했다. 임 교수는 마이크로소프트 근무 당시 카메라 거리 측정 ... ...
- [헷갈린 과학] 비숑프리제 VS. 몰티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어떤 종인지 혹시 알고 있나요? 최근 발표된 여러 통계조사에 따르면, 그 주인공은 바로 ‘몰티즈’예요. 몰티즈는 몸무게가 2~3kg에, 몸높이는 20~26cm인 소형견이에요. 몰티즈의 둥근 머리, 짧은 주둥이, 까만 코, 그리고 새하얀 털이 비숑 프리제와 닮아 사람들이 두 종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요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삼산텍이 됐지만, CEO도 겨우 데려올 정도로 상황은 좋지 않다. 이런 삼산텍에 필요한 건 바로 ‘수학’이다! “1부터 100까지 더하는 계산법을 창의적으로 해결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처럼 스타트업 운영은 문제를 발견하고, 모순을 정의한 뒤 사고를 전환해 해결하는 과정의 연속이다.”김범수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요! 자기 유사성을 가진 프랙털위쪽에 보이는 삼각형이 바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에요. 이 삼각형은 큰 정삼각형 안에 중간 크기의 정삼각형들이, 또 그 안에 더 작은 정삼각형들이 있는 독특한 구조예요. 폴란드의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가 고안했죠. 이렇게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빌리 아일리시…. 서로 만나본 적도 없을 것 같은 이들에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채식인’이라는 거예요. 인포그래픽으로 세계 채식의 동향을 알아보고 ‘채식주의’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2020년 9월 23일, 울산광역시교육청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생태환경교육의 일환으로 1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영향을 많이 받는다. 아고산대 지역은 큰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고도 경계인 교목한계선 바로 아래 지역을 뜻한다. 국립공원연구원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지리산 반야봉 일대 2월 평균기온을 측정한 결과, 2012년 영하 9.1℃에서 2017년 영하 5.8℃로 연평균 약 0.76℃씩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느껴졌다.“KSTAR는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는 실험장치입니다. 바로 저 안에서 1억℃ 플라스마가 만들어지는 거죠.” 끊임없이 진화하는 KSTAR“위-잉, 위-잉”.KSTAR가 위치한 주장치실은 정체 모를 소음으로 가득했다. 1m 옆에서 KSTAR에 대해 설명하는 김 부장의 목소리가 잘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못하는 실어증 환자의 몇몇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어증 환자는 대부분 왼쪽 귀 바로 위에 위치한 좌측 대뇌피질이 손상돼 있다. 그래서 이 영역이 언어 구사 능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일부 실어증 환자들 중 일반적인 언어 구사에 장애를 갖고 있음에도 욕은 유창하게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