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뢰찾기가 수학계 7대 난제라고?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빠르게 정답을 찾는 방법을 몰라서 P 문제인지 아닌지 모르는 문제가 있어. P 대 NP 문제는 바로 이런 NP 문제들이 모두 P 문제인지 아닌지 증명하는 거야. 만약 모든 NP 문제가 P 문제라면 문제의 답이 맞는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문제는 빠르게 푸는 방법이 있을테고, 다르다면 문제의 답이 맞는지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칠 수 있는 ‘피보나치 수열 연주법’이다. 먼저 피보나치 수열은 0과 1로 시작해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해서 다음 수를 만드는 수열로 0, 1, 1, 2, 3, …과 같이 전개된다. 피보나치 수열은 잎이 나는 모양, 해바라기씨의 배열 모양 등 자연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다. 2018년 6월 피보나치 수열 연주법을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 게임 개발을 더 쉽게! 게임 루프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상관 없이 1초 동안 모두 더하면 1이 됩니다. 델타 타임 = 현재 화면을 나타낼 때 시간 - 바로 이전에 화면을 나타낼 때 시간델타 타임 개념을 게임 루프에 적용하면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는 게임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를 같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자는 델타 타임 개념을 적용한 게임 루프를 ... ...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SNS에서 누군가 작은 비커를 들고 찍은 사진을 봤어요. 작은 실험 도구들에 첫눈에 반해 바로 구매하고 실험 영상을 만들기 시작했죠. 학생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어요. 그리고 ASMR을 찍으라는 조언도 해줬지요. 저는 과학의 재미를 함께 즐기고 싶어 유튜브를 시작했어요. 꾸준히 영상을 올리다 보니 ... ...
- [DISCUSSION] 과학동아 독자에게 물었다, 클라우드 공룡기업 규제 필요할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알고 있을까요? 사실 저는 미국의 구글과 아마존웹서비스밖에 알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런 인지도 차이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은 저처럼 잘 알려진 기업의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인지도가 낮은 기업에서 더 편리하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도 인지도 차이 때문에 결코 평등한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지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대뇌의 전두엽이 여성보다 남성이 크고 여성은 전두엽 바로 뒤에 있는 두정엽이 남성보다 크다고 봤다. 이와 다르게 신경해부학자들은 두정엽이 오히려 지능에 더 중요하고 실제로는 남성의 두정엽이 더 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0세기 이후로도 과학자들은 뇌의 여러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한국어를 잘하는 외국인일지라도 여전히 말할 때 부자연스러운 단어가 있다. 바로 욕과 같은 비속어다. 비속어는 감정을 표출하는 언어인지라, 뒤늦게 배운 제2언어에 딱 들어맞는 감정을 싣는 건 꽤 어려운 일이다.비단 비속어를 말할 때뿐만이 아니다. 사랑, 기쁨 등 긍정적인 감정이 관련된 말의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전자와 전자가 서로를 미는 전자기력에는 그 힘을 운반하는 ‘매개 입자’가 있어요. 바로 빛의 입자이기도 한 ‘광자’지요. 마치 두 사람이 배를 타고 물 위에서 공을 주고받으면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아 배가 밀려나는 것처럼, 전자들은 매개 입자인 광자를 주고받으며 서로를 미는 전자기력을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러시아측 장치가 문제일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러시아측의 생각은 달랐다. 사고가 난 바로 다음 날부터 우리나라가 개발한 2단 엔진(킥모터)의 비행종단시스템이 문제를 일으켰다는 주장을 펴기 시작했다. 비행종단시스템은 2단 엔진이 오작동할 때 더 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엔진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필두로 한 수학자들은 유한 단순군을 원소로 생각한 대칭 주기율표 작성에 나섭니다. 바로 ‘아틀라스 프로젝트’입니다. 유한 단순군 분류 정리에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26가지의 산재군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산재군은 다른 군과 성질이 다르고 불규칙해 발견하는 건 물론 원소의 개수가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