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악어들이 가방용으로 희생됐다. 악어 사냥은 경제 성장과 함께 증가했는데, 1970년대 초에는 약 200만 마리의 악어가 가죽으로 전세계에 거래됐다. 이 때문에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국제거래협약(CITES)’에서는 현재 대부분의 악어류를 거래금지 항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상한 이름의 연구소들도 보이더라?”시원이의 질문에 오로라가 대답했어요.“신풍초는 하나의 산을 전부 차지하고 있어서 선생님들조차 학교에 어떤 건물이 있는지 정확히 몰라. 예비학교는 학생들의 지식과 체력을 시험하는 한편, 학교의 시설들을 익히라는 의도도 담겨 있지.”“라면 다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잰다. 이게 시계다. 현대 인류는 세슘 원자가 91억9263만1770번 진동할 때 걸리는 시간을 1초로 정하고 있다. 그런데 양자역학에선 이게 그리 간단치 않다. 시간을 물리적으로 정의하려면 시간의 진화를 결정하는 방정식이 있어야 하는데, 양자우주론에는 누구나 인정한 특별한 공식이 아직 없다(후보만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마다가스카르 섬은 백악기 때도 지금처럼 고립된 곳이었다. 당시에는 모든 대륙에서 초식공룡인 갑옷공룡이 존재했는데, 이들은 키가 작은 식물을 뜯어 먹었다. 하지만 마다가스카르는 갑옷공룡이 이주하기도 전에 이미 아프리카로부터 분리되는 바람에 갑옷공룡이 진출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 ...
- [Tech & Fun] 삼성 딜라이트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손으로 이런 냉장고를 만들어보고 싶다”고 했다. 로봇공학자가 꿈인 강현민(서울 버들초 5) 학생은 “가상현실이 현실인지 가상인지 구분이 안 갔다”며 “로봇공학과 가상현실을 접목한 기술을 개발해보고 싶다”고 했다. 삼성 딜라이트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참가신청은 딜라이트 홈페이지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한 종류고요. 따라서 빛을 다루는 레이저 분야는 다양한 전기․정보공학 분야 중 기초에 속합니다. 보다 본적인 전기 현상을 탐구하고 개척하는 것에서 큰 보람을 느낍니다.방준휘 전기․정보공학부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정윤찬 레이저 같은 학생이 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 ...
- [수학뉴스] 서울교육청, 특목고와 자사고를 일반고로 통합할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모르겠습니다. 지난 2월 24일 고려대 김경근 교수팀은 서울시교육청 조희연 교육감에게 ‘초·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고교체제 개편방안 연구’ 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김 교수팀의 보고서를 토대로 외국어고와 국제고, 자율형 사립고를 일반고로 통합하는 고교체제 개편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자신의 속력을 안 모둠원은 복도로 나가 3반부터 10반까지의 복도를 열심히 뛰어 몇 초가 걸렸는지 쟀습니다. 교실에서 잰 자신의 속력에 3반 교실부터 10반 교실까지 뛰는 데 걸린 시간을 곱하면 두 학급 사이의 거리가 됩니다.모둠원들은 더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 모둠원 각자가 구한 3반과 10반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하면서 수요를 만족하는 방법을 찾은 게 되지요. 산업계 문제, 수학자가 푼다!올해 초 독일 베를린공대 마르틴 슈쿠텔라 교수는 미국응용수학회(SIAM) 저널에 출판된 논문에서 이 1.5라는 값을 줄인 개선된 근사 알고리듬을 제시했습니다. 새로운 알고리듬은 바꾼 문제 답과 L*와 D값이 있을 때, 최대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활용할 계획이다.Q. 망원경 프로젝트에 구글이 참여하는 점이 놀랍다.구글은 프로젝트 초창기부터 기관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구글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LSST에서 만들어진 방대한 데이터를 대중에게 어떻게 서비스할지, 구글이 관심이 많을 걸로 예상한다. Q.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