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방법을 개발했다고 ‘피지컬리뷰엑스(Physical Review X)’ 5월 11일자에 발표했다.광시계는 1초에 91억9263만1770번 진동하는 세슘원자보다 더 빠르게 진동하는 원자를 이용한 시계로, 차세대 시간 기준으로 거론되는 기술이다. 하지만 아직 발전단계라 같은 종류의 광시계끼리 시간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 ...
- [과학뉴스] 광유전학 치료 임상 돌입… 신경 치료 새 빛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밝혔다. 한편 경쟁사인 프랑스의 젠사이트 바이올로직스사도 광유전학을 이용해 2017년 초부터 망막색소변성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할 예정이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마취통증의학과의 로버트 제류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광유전학은 신경질환 치료에 있어 완전히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효율이 떨어지는 물질을 넣은 건강기능식품이 넘칩니다. 김혜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초빙연구원은 “몸에 좋은 성분으로 알려진 것이라도 음식으로 먹을 때와 그 성분을 농축해서 약으로 먹을 때 (체내에서 이용하는 형태와 효율에 따라) 약물 섭취 효과가 다를 수 있다”며 “소비자들이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영역에 침입자가 들어왔을 때 앞다리를 한 번 흔들고 고개를 한 번 끄덕인다. 단 1초밖에 걸리지 않는 동작이지만 다른 재키드래곤들이 보고 뜻을 이해하기에는 충분하다.이때 침입자 재키드래곤이 영역을 뺏으러 온 것이면(싸울 태세!) 똑같이 앞다리를 한 번 흔들고 고개를 끄덕인다. 반면 침입자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 범위에서 초신성이 터질 확률은 수십 년에 하나 정도다. 1987년 대마젤란은 하에서 초신성 폭발을 관측한 게 현재로선유일하다. 중력파 관측소는 상대적으로 관측범위가 길다. 중성자별 쌍성 병합은 중력파 신호가 강해, 6억4200만 광년 거리에서 도 관측할 수 있다. 1년에 40개도 관측 가능하다.202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미국행성협회는 첫 우주범선 코스모스 1호를 만들어 2005년 6월 발사했지만 발사된 지 83초 만에 추진 로켓의 엔진 결함으로 추락했다. 코스모스 1호는 한 변이 15m인 삼각형 돛이 거대한 풍차처럼 8개가 달려있는 모양이었다.이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나노세일-D를 만들어 2008년 8월에 발사했다. ...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걸리는 시간은 0.4초로 미국 프로농구 선수들의 평균이 0.54초인 것과 비교하면 무려 0.1초가 차이가 난다. 수비수 입장에서는 순식간에 벌어지는 일이다. 심지어 슛 성공률도 높다. 득점 성공을 부르는 각도, 50도커리가 공을 던질 때 각도는 50~55도 사이다. 이 각도는 어떤 의미일까? 미국 스포츠 전문 ...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국시간으로 4월 7일 오후 1시부터 4월 8일 오전 8시 사이다. 전문가들은 2013년 말~2014년 초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빙붕의 균열이 커진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빙붕의 이동은 육상에 남아있는 빙하에도 영향을 미친다. 빙붕이 많이 깨져나갈수록 빙하의 이동 속도가 빨라져 해수면 상승을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들고자 하는 욕망. 소설 ‘프랑켄슈타인’으로 대표되는 이 같은 희망은, 20세기 초 빠르게 발달하기 시작한 기계·전자 기술에 힘입어 인간과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인간은 만들지 못했다.100년이 흐른 지금, 기술의 발달은 다시금 본래의 욕망을 향한다.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신호로 움직이는 전동휠체어(최영진 한양대 전자공학부 교수팀 개발)를 타려고 했을 때, 초기 설정을 하는 데에만 수십 분이 걸렸다. 김 박사는 “사람마다 다른 생체신호에 대한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인공지능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MISSION 4사람보다 더 사람처럼 보이기사이보그는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