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납품 일정의 압박으로 이 과정을 생략하거나 축소했을 가능성을 없을까. 이상영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는 “배터리 회사에서 그렇게 할 가능성은 없다”며 “만약 그랬다면 정말 요행을 바랐거나 혹은 시쳇말로 망하자고 작정한 것밖에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보호회로가 제 기능 못했을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일어날 조건) 해에 단풍이 더욱 붉게 물든다.월동준비에 전력을 다해도 바쁠 때에 굳이 에너지를 사용해가며 안토시아닌을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그 이유를 세 가지로 설명했다. 우선 안토시아닌은 뜨거운 빛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는 “LMB에 오기 전 미국 유타대에 있을 때는 리보솜 구조를 규명하는 연구에만 모든 에너지를 쏟을 수 없었다”며 “LMB에 오지 않았다면 버스를 놓쳤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패할 위험이 높은 연구였기에 다른 과제와 병행해야 했고, 그 때문에 연구에 온전히 집중할 수 없었던 것이다.젊은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서 무게가 KTX 산천보다 5% 줄어들었다. 무게가 가벼우면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빨리 달릴 수 있다.동력분산식 엔진 410kW짜리 엔진 20대가 각 차량에서 제각각 힘을 내서 KTX 산천보다 17% 더 많은 힘을 낸다. 또 엔진이 나누어져 있어 더 빨리 가속할 수 있고, 더 빨리 정지할 수 있다.60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진파 에너지 크기를 각각 구해 보세요. 규모는 겨우 1 차이지만, 규모 5 지진의 지진파 에너지는 규모 4인 지진의 약 32배나 됩니다.경주에 규모 5.8 지진이 일어나기 약 48분 전에 규모 5.1 지진이 일어났었습니다. 한 시간이 채 지나기도 전에 약 11배나 더 강한 지진이 찾아왔다는 사실, 놀랍지 않나요?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센서를 이용해 태양에너지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를 만들었다.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에너지의 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직접 재보면 말로만 듣는 것보다 이해하기 더 쉽다.다양한 물질의 어는점, 끓는점 등을 온도 센서로 측정해 그래프로 나타내는 SW를 만들어 물질의 특성을알아보는 실험도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온몸을 순환하는 양의 20%다. 몸 전체가 사용하는 산소의 20%를 쓴다는 뜻이다. 또 뇌는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내는 탄수화물(포도당)만 사용하는데, 뇌 주름에 혈관이 오밀조밀 뻗어 있는 덕분에 효율적으로 포도당을 공급받을 수 있다.뇌 주름은 정보를 교환하는 효율도 높인다. 뇌세포는 서로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범위는 항성 종류에 따라 다르다. 특히 밝기가 중요하다. 만약 항성이 너무 어두우면(에너지가 작으면) 골디락스 범위는 항성에 가까워지는데, 오히려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행성에 미치는 항성의 중력이 너무 세져서 마치 지구와 달의 관계처럼 행성의 한쪽 면만이 항성을 바라보게 된다. 행성의 ... ...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추운 겨울에는 먹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땅굴 속에서 겨울잠을 자며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이는 거예요. 11월 중순에 겨울잠을 자기 시작해 3월 초순에 깨어나는데, 가끔 배가 고프면 잠에서 깨어 먹이를 찾으러 돌아다니기도 한답니다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현상’을 억제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9월 8일 밝혔다.태양에서는 핵융합이 일어나면서 에너지가 생긴다. 지상에서 핵융합을 실현하려면 고온의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가둘 수 있어야 한다. 대개 토카막에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가둔다. 하지만 외부와 압력 차이가 큰 탓에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