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졸업"(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5. 선배가 걸어온 길과학동아 l1991년 04호
- 해결해야 할 최우선과제라고 생각된다.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이공계대학을 졸업한 웬만한 사람이면 이미 선진국에서 개발된 제품을 복제하는 일은 자신의 암기실력을 잘 활용하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이나 신제품을 개발하는 데는 거의 힘을 쓸 수 없다. 미지의 세계에 ...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벌써 20년의 전통을 쌓아 놓았다. 금년까지 석사 6천3백30명, 박사 1천48명을 배출했다.졸업생들이 현재 일하고 있는 분야는 박사의 경우 교육기관 31.8%, 연구기관 36.6%, 산업체 종사 27.9%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들 중에는 직접 기술집약적인 벤처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사람도 있는데, 예컨대 터보테크 ...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예정인데, 사진 팀을 기존 생태사진작가와는 별도로 구성, 운영하고 있다. 사진학과를 졸업한 사람으로 사진 경력 5년 미만이 주축. 이들은 5년동안 고정급을 받으면서 5,6개의 주제만을 갖고 집중적으로 촬영에 몰두하고 있다.웅진출판사 생태사진 개발부 김갑수차장은 "일종의 새로운 시도다. 기존 ... ...
- 노벨상물리학자「존 바딘」별세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바딘은 1908년 위스콘신주의 매리슨에서 태어나 위스콘신대학과 프린스턴대학을 졸업하고 1951년부터 일리노이대학에서 연구를 수행했다.그가 명예교수로 있던 일리노이대학의 모턴총장은"어떤 미국인도 뛰어넘지 못할 업적을 이룩한 이 시대의 마지막 거인"이라고 그를 평가했다 ... ...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교육받은 한국인이었다고 한다. 그들은 일본에서 수기소(修技所)라는 기술기관을 졸업했다. 역사자료가 돼 버린 군용비도광무 2년. 한국은 국호를 대한(大韓)으로 고치고 연호를 광무라 개칭하고 왕을 황제라 칭하는 등 국내외에 독립제국임을 선포한지 1년째 된 해였다. 국가는 독립제국으로서의 ...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부수적으로 대학생들도 보다 어린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많은 것을 얻게 될 것이고, 대학 졸업 후에도 통합 단체의 '일반부'에 남게돼 후배들과 멀어지는 일도 없게 될 것이다.현재 부산 지방에서 모범을 보이는 것과 같이 전국의 과학관과 통합 단체가 연계될 수 있으면, 통합 단체는 가장 훌륭한 ...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과학동아 l1991년 02호
- 한국 사람들은 수학(셈?)을 잘 한다고 한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그렇게도 잘했던 수학을 졸업과 동시에 팽개치고 돌아보지도 않으며, 애써 익혔던 증명도 그 의의조차 까마득히 잊어버리고 만다. 물론 증명의 바탕이 되는 대화의 정신은 가꾸어지지 않은 채 말이다. 말하자면 수학은 학교에서만, ...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과학동아 l1991년 02호
- 터진 다소 어수선한 날이었다.이웃집 할아버지같은 인상인 강이사장은 서울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에서 화학박사학위를 받은 정통 과학자. 더 정확히 말하면 한국화학연구소 연구담당부소장, 한국 표준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던 테크노크라트다. 미국에서 처음 시작돼- ...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그당시 종합대학은 김나지움 졸업장이 필요했지만, 공과만 있는 단과대학에서는 졸업장을 요구하지 않았다)에 입학했다. 다른 점수가 형편없어 입학이 불가능했으나, 수학시험 답안지가 워낙 훌륭해 불합격시키지 못했다는 것이다.그후 전학을 한곳이 스위스의 취리히에 있는 ...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진화했다고 볼 수 있다.23년 전 경기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 때의 일이다. 한 졸업생이 소포와 편지 한 통을 보내왔다."선생님의 좋은 가르침을 받고 좋은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러나 선생님,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이나 다윈의 자연선택설 등의 진화설을 그렇게까지 강조해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