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료
필업
학위 취득
졸업식
수여식
d라이브러리
"
졸업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수업이 입시와 교과서라는 틀에만 묶여있어야 합니까?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진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문과학생들을 가르칠 때는 더욱 그렇다. 문과학생들은
졸업
한 후 과학자가 될 학생들은 거의 없다. 문과학생들은 과학을 단지 입시를 치르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여길 뿐 더 이상 과학수업 그 자체에 의미를 두지 않고 있는 것이다. 문과학생들은 과학과목 중 주로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아인슈타인은 이 수학자의 수학강의에서 상대성이론의 밑천을 얻게 된다.대학을
졸업
한 아인슈타인은 베른에서 특허국 직원으로 일한다. 그는 업무상 특허를 받으려고 신청한 발명품의 기본개념을 곧바로 알아채야 했고 이래서 과학실험의 이론가치를 알아내는 비상한 재주를 지니게 됐다고 한다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73년 처음으로 한국과학원 입학생을 모집하게 되었다.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우수한 대학
졸업
생들이 5백명 이상 응모했다. 나는 늘 "대학이나 대학원 교육은 양보다 질이 우선되어야 한다. 소수정예를 선발해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교무처장이던 전무식 박사(현 KAIST교수·화학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들뜬 분위기가 자칫 용두사미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않다. 현재로서는
졸업
생들의 1백% 취업이 낙관시 되지만 관련산업의 성쇠에 따라 학과에 대한 지원규모도 들쑥날쑥해져서 소신있게 특성학과를 지원한 학생들이 제대로 공부할 여건이 마련되지 못하는 일이 생겨서는 안된다는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누구든 스스럼없이 매달려 조언을 구했다고 한다. 83년 그가 대학도 아닌 고등학교
졸업
의 학력으로 군복무기간조차 1년이나 남겨놓고도 국책과제인 '무정류자서보모터'(brushless servo motor) 개발팀 연구원으로 KAIST에 발탁된 것은 이런 '한우물 파기'로 축적된 그의 실력이 객관적으로 인정된 예가 아닐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예사의 천문단체와는 조금 성격이 다르다. 광주의 두대학(전남대와 조선대) 천문학과
졸업
생들이 모여 전남지역에 아마추어천문의 싹을 피울 수 있는 길을 열어보자고 의기투합한 것. 별사랑과 지역사랑이 결합돼 옥동자를 탄생시킨 셈이다. 더욱이 초기 구성원들이 천문 관련학과 대학원생들과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르는 그의 특허가 황씨의 명성을 입증하고 있다.지난 76년에 용산공고 토목과를
졸업
하고 88년까지 건설과 시멘트 관련업체에서 일한 황씨는 비싼 값으로 수입되는 대리석 타일을 채체할 수 있는 값싼 타일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느껴 이 발명을 시작했다.연구기간은 5년이나 걸렸다. 국내외의 ... ...
하나그림 홈서브 평생비서 오!K 마이글벗+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1백만대 돌파를 계기로 올해에는 쓸만한 PC용 소프트웨어들이 쏟아져 나왔다.대학을 갓
졸업
한 젊은 프로그래머들이 소프트웨어회사를 차리고 의욕적인 한글프로그램들을 만들어내는가 하면 대기업들도 소프트웨어개발에 승부를 걸고 있다. 게다가 PC통신인구의 급증과 소프트웨어 전문유통업체의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부분의 전산관련 학과에서 리스프를 고학년에서 잠시 가르친다. 그러므로 대개의 학부
졸업
생에게 리스프는 생소하고 꺼림칙하게 느껴진다. 이런 교육환경은 빨리 고쳐져야 할 것이다. 필자 역시 포트란 세대여서 스스로 짠 리스프 프로그램을 보면 마치 국민학생이 삐거덕거리며 바이올린을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구하는가를 미리 살펴볼 수 있다. 4학년1학기까지의 개별연구가 끝나면 곧 2학기에는
졸업
연구에 들어가는데 학사에서 석박사로의 무시험진학이 많기 때문에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상대적인 여유가 많다.일찌감치 스스로 실험하고 스스로 연구해 나가는 자세를 익혀서인지 KAIST학생들은 자신들의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