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료
필업
학위 취득
졸업식
수여식
d라이브러리
"
졸업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남상부 김재관 교수 등 쟁쟁한 멤버들이 버티고 있어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대학을
졸업
하고 대학원에 진학했으나, 언 잉크를 찍어바르며 공부하던 세미나 친구들이 모두 유학길에 올라 한때는 외톨이가 되기도 했다.'친구 따라 강남간다'고 1년 후에는 김교수도 청운의 뜻을 품고 애틀란타의 ... ...
한국 기술 교육 대학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각종 장학금이 지급된다. 재학중 1급 기능사 1급 기사 등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할 수 있고
졸업
생에게는 공학사 학위와 직업훈련교사 면허를 부여한다.
졸업
후에 이들이 진출할 진로는 많다. 공공 및 인정 직업훈련원의 교사는 물론 산업체의 기능인력 양성교사 및 생산기술 지도감독부서의 책임자,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뛰어났던 점도 매력의 하나였다 한다. 두 사람이 사랑에 빠지는 것은 시간 문제였다.대학
졸업
후 직장을 구하지 못했는데도, 게다가 아인슈타인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두사람이 맺어진 것은 1904년 봄의 일이었다. 이듬해 1월에는 첫딸 리제가 태어났음이 최근 확실해지고 있다. 아인슈타인이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새들을 좋아하게 됐다. 틈이 나면 새들을 찾아나서곤 했던 그의 새에 대한 정열은 학교를
졸업
하고 사회에 나와서도 식을 줄 몰랐다."지난 78년 '자연보호헌장'이 제정선포됐을 때 나는 새 사랑을 통해 자연보호와 나라사랑을 실천 하기로 했습니다. 80년 협회를 만들때 회원들이 얼마나 모일까 ... ...
화학- 이온과 전기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전기장에 의해 이온이 생성된다는 설명은, 이로부터 50년 후 스웨덴의 스톡홀름 대학
졸업
을 앞둔 22세의 젊은 청년 S. A. 아레니우스의 도전을 받았다.아레니우스는 "전해질은 전기장과 무관하게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뉘어 독립적으로 운동한다"고 주장 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 ...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대상 또한 8비트기종에서 16비트 IBM PC 호환기로 변경되었다. 개발팀들은 대학을
졸업
한 후 의기투합해서 모인 제작 전문그룹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기업과 계약으로 대개 유통되는데 이러한 개발과 유통의 분리는 궁극적으로는 상대적인 자금압박이 더 큰 제작측에 심각한 어려움을 유발하고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주었습니다."고려대 2학년때 유신헌법 반대투쟁을 벌여 퇴학당하고 외국어대 독일어과를
졸업
한 그는 교사시절 학생들에게 소위 '의식화교육'을 한 죄로 교단에서 쫓겨 났다. 지난 80년에 해금통지서를 받을 때까지 10년 동안 그는 집에 있는 금화조를 키우면서 경희대 원병오 교수를 만나 새는 물론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삽입해 놓고는 신입생들의 반응을 지켜 보았다. 이 전통의 영향으로 몇몇 에콜 노르말
졸업
생들이 만든 수학연구그룹이 부르바키그룹으로 발전될 때 그룹이름을 프랑스의 잘 아려지지 않은 19세기에 활동한 장군 이름인 부르바키(Nicolas Bourbaki)로 정하게 된 것은 재미있는 일이라 하겠다.이들은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아직도 카메라는 그다지 쉽게 다룰 수 없는 기계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결혼식
졸업
식 등 크고 작은 일들을 추억으로 남기기 위해 사진을 찍게 되지만 실상 카메라를 대하고 보면 섣불리 알고 있는 지식이 얼마나 하잘것 없는 것인가를 절감하게 된다.사진은 순간을 포착, 사실을 기록할 뿐 ... ...
장회익·모혜정 부부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당시 이화여대 물리학과의 경우 정원이 20명(현재는 80명)이었는데 모교수와 함께
졸업
한 사람은 9명 뿐이었다고 한다. 장·모부부의 네번째 일치점은 둘다 현재까지 한권의 저서를 썼다는 것이다. 장교수는 '과학과 메타과학, 모교수는 '에너지띠이론'의 저자다.'과학과 메타과학'은 물리학과 직접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