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료
필업
학위 취득
졸업식
수여식
d라이브러리
"
졸업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의 변덕을 헤아리는 불침번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배운다고 할 수 있는 대학원 석·박사 과정의 준비단계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을
졸업
하는 많은 사람들이 연구소 기상대 항공사 등의 실제 응용분야를 택하기보다는 대학원 과정으로 진학하거나 유학을 통해 학문을 계속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학문에 대한 갈증은 끝이 없는 것인지 ... ...
컴퓨터 전문자격증 따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것이 유리하다.이와같이 시험이 실무와 관련된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출제되므로 학교를
졸업
한지 10년 이상이 지난 후에 다시 체계적으로 공부해야 하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결코 어려운 자격시험은 아니다.■공인정보시스템감사사/컴퓨터분야의 공인회계사기업이 투자가나 고용원 정부기관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하태규박사(56)를 꼽지않을 수 없다.그는 유럽 제1의 이론화학자다. 59년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
한 하박사는 63년 서독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65년부터 2년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대학과 버클리대학에서 연구원과 강사 노릇을 잠깐 한다.그의 진가는 69년 취리히대 강사가 되어 ...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이것은 특히 수학문제를 풀 때 실수를 줄여주는 안전장치가 돼 주었습니다."과기대를
졸업
한 박성일씨는 합격에 이르는 공부방법을 조목조목 짚어주고 있다."주관식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당락이 주관식에서 좌우되기 때문이죠. 국어와 영어는 별 뾰족한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찍어서 점수를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청했다. 여러 곡절을 겪은 후 1921년 여름, 맥클레오드교수는 생리학·생화학을 전공하고
졸업
하게 되는 베스트(Charles H. Best)를 밴팅의 조수로 추천했다. 추천된 두사람, 클라크 노블이라는 학생과 베스트는 둘다 그 일을 맡기 싫어했다. 하는 수 없이 그들은 이긴 사람이 그 일을 하지 않고 먼저 휴가를 ... ...
마음은 벌써 시베리아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휴학을 하고 재수를 하거나 편입시험을 보거나 전과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대강
졸업
장만 따는 것을 목표로 삼고 만다.또한 전자의 경우에는 성공해도 시간과 노력이 허비되고 실패하면 더 말할 나위도 없다. 아무튼 학과의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성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냉정하게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소련의 공교육기관을
졸업
했는데, 소련인구의 85% 가량이 되는 미국의 이 분야
졸업
생 수는 20만명을 넘지 못했다.소련은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했고 최초로 인간을 우주궤도로 진입시켰으며 다른 천체에 우주선을 보냈다. 소련은 최초의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했고 핵융합 레이저 및 원자분쇄기분야 ... ...
파이오니어-내 어깨에 지워진 짐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똑같은 꿈을 꾸며 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나보다 더 침착하고 냉철했던 동기들은 이미
졸업
을 해서 사회 각 분야에 진출해 자신의 길을 개척하고 있었다.대학과정만으로는 유전공학의 실제 응용을 할 수 없기에 유학이나 대학원진학 등으로 학업을 계속하는 친구들이 많았고, 벌써 시집을 가서 ... ...
말이 씨가 되었지만…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되지 않을까.고등학교 시절의 엉뚱했던 나의 꿈이 이제는 현실로 다가왔지만 아직 나는
졸업
후 나아갈 길을 확실하게 정하지 못하고 있다. 부끄러운 얘기지만 능력을 펼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넓다는 사실을 안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내가 현재 고려하고 있는 진출희망 분야는 크게 봐서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및 제37회 연회에서 특별강연을 하게 되었다. 내가 서울대학교 문리대 화학과를
졸업
한지 20년만의 일이었다. 이 자리는 전공인 화학을 계속하지 않고 외도(?)를 하던 내게 베푼 영광스런 자리이기도 했다.내 강연의 주제는 '한국 고대 화학기술의 몇가지 문제'였다. 여기서도 나는 유리의 기술에 대한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