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사람이 떨어져 있어도 반려동물의 체온이 올라가면 에어컨을 켜는 등의 관리가 가능한 셈이다. 이 같은 세부적인 아이디어는 14년 넘게 반려견을 키운 장 교수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됐다. 이 연구는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0에 초청받기도 했다. 장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친해지는 시간이 다를 뿐 영어가 전부는 아냐~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내용을 영어로 이해하는 것을 연습했다.그러나 미국 대학에 와보니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과 원어민 수준의 영어를 구사하는 것은 완전히 달랐다. 유창한 영어로 대화를 나누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었으나 늘 겉돌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여럿이 대화를 나눌 때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랐기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구사할 수 있도록 만드는지 알아봤다. 저자의 아들이 그런 이중 언어 사용자였기에 가능한 연구였다. 이 책에는 2018년 12월 저자가 사망할 때까지의 연구 결과물이 집대성돼 있다. 그를 통해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탐구해보자 ... ...
- [매스크래프] 세종대왕과 집현전, 한글이 이토록 수학적인 언어라니!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있는 멋진 언어입니다. 여러분과 제가 소통하는 이 순간도! 한글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겠죠? 그래서 오늘은 한글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집현전을 지어보겠습니다!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한글을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요, 하지만 이나 ... ...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뒤흔든 전염병으로 하반기 경기가 침체되면서, 기존의 산업 분야는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과학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면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전시나 쇼핑 사례처럼 기존의 산업에 가상현실이나 온라인 플랫폼, 온라인 서비스를 융합하면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 ...
- [과학뉴스] 둥둥 떠 있는 이것은 토마토? 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해변을 가득 메운 빨간 물체는 무엇일까요? 지난 3월, 호주 그리피스대학교 쉘든 레이보코 박사과정생이 필리핀 팔라완 해변에서 발견한 해 ... 설명했어요. 하지만 호주 플린더스대학교 라이언 바링 박사는 “자연환경 변화와의 연관 가능성도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꼽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보다 적은 수준이었다. doi: 10.3389/fmicb.2020.01800 Q 재감염 가능할까? A “돌연변이와 중화항체가 변수” 8월 25일 홍콩대 연구팀은 지난 3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완치된 홍콩 국적의 환자가 8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다시 받게 된 사례를 보고했다. 연구팀은 첫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명확한 방식으로 악성 코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었다 그러나 AI 클라우드의 경우엔 불가능하다. AI 모델을 정의하는 인자, 입력 데이터 하나하나가 모두 보호해야 할 정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AI 모델 정보 중 일부라도 노출되면 공격자가 AI 전체 결정 과정에 쉽게 개입할 수 있다. 특히 딥러닝의 ... ...
- 한글날특집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무리 없이 받아들인다. 이는 인지과학에서 ‘정신화(mentalization)’라는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정신화는 1960년대 후반 등장한 심리학적 개념으로,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의 마음 상태를 인식하고 머릿속으로 이해하려는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타인의 행동과 의도를 이해하는 과정이다.2014년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우주발사체는 발사 실패 시 잔해를 수거하거나 사고 현장을 확인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사체가 비행하면서 지상으로 전송한 원격측정데이터에 상당 부분 의존해 사고 원인을 규명한다. 때문에 직접적인 실패 원인을 규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걸 열심히 설명해야 했다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