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난제3. 불로장생의 삶,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이번 난제는 ‘불로장생’이에요. 인간은 과연 과학의 힘으로 늙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을까요? 이 난제를 풀기 위해 노화와 암 치료에 도전장을 내민 과학자들이 있답니다. 젊은 피 안에 나이를 거꾸로 돌릴 열쇠가 있다?성균관대학교 방석호 교수는 “쥐를 이용한 ‘파라바이오시스 실험’ ...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있을까. 가령 410만 개의 별이 밀집해 있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능성이 높지 않다. 밀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Sgr A*에 다가가는 S0-2의 위치를 보면 블랙홀과의 거리가 태양계 크기의 몇 배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만일 블랙홀이 아니라면, 태양계 크기 정도의 작은 공간 안에 빛을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기계가 등장합니다. 이처럼 순간 판단이 중요한 일에 인공지능이 쓰여 오류가 일어날 가능성은 없을까요.인공지능은 빅데이터로부터 판단의 기준점을 확립합니다. 문제는 인공지능에 입력되는 대부분의 데이터가 ‘백인’ ‘유럽인’ ‘선진국’ ‘민주주의 국가’ 등의 편향된 집단에서 ... ...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실렸다. doi: 10.1038/s41586-020-2540-1전자의 에너지 준위 퍼짐 현상은 실험적으로도 관측 가능하다. 이는 곧 양자 거리를 실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 양 교수는 “현실 세계에 완벽히 평평한 에너지띠는 존재하지 않고, 에너지 퍼짐 정도의 차이도 아주 미세하다”며 “양자 거리를 실제로 ...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학자들에게 받은 92건의 난제 해결 아이디어 중 문제의 참신함, 중요성, 발전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14개 아이디어를 선정했지요. 여러 난제들 중 어과동의 관심을 끈 첫 번째 난제는 포항공과대학교 박주홍 교수가 발표한 ‘미래의 로봇은 어떤 모양일까?’였어요.현재의 로봇은 구조적으로 몇 ...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불렀죠. 1965년에 발표된 이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인 존재일 거라 생각했던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줬습니다. 동아사이언스 × KAIST 과학영재교육원세상을 바꿀 문제에 도전하라! 궁극의 질문 프로젝트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자처럼 훌륭한 연구의 출발점이 될 질문을 모집하는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주기율표를 만들어보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작품 당 1~4명까지 팀으로 참가 가능• 한 학교에서 15개의 작품 이상 출품 시 단체상 수상 가능■ 응모 기준주기율표 원소의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 그림, 포스터, 포토샵, 동영상, 실물 모형 제작 등형식 제한 없음 (그림의 경우 A4용지 크기 이상)• 주기율표 20번까지는 필수로 포함시켜야 함■응모 ...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과학동아 l2020년 11호
- ◇ 꽤 어려워요‘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집에만 있으니 답답한데, 뭐 재밌는 게임 없을까?’시작은 단순한 호기심이었다. 60명이나 되는 플레이어가 귀여운 모습으 ... “인공지능이 물리 엔진을 만들면 인간이 반영하지 못했던 ‘그럴듯한 요소’ 구현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을 수혈해서 항체를 만들어 치명적인 질병을 예방하는 게 가능해졌다.또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직접 억제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로 이어졌다. 바이러스의 정체를 명확하게 밝힌 덕분에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검증하고, ...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있고, 생산량을 확대하거나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는 식물을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다. 폐쇄적인 교배로 유전질환에 취약한 반려동물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유전자 가위 기술은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다. 실제로 ‘프라임 에디팅(Prime editing)’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등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